2023년 한 해 동안 폐수 8.8억ℓ 외부 배출 없이 100% 공정 재이용
이차전지 기업, 지자체 등 벤치마킹 견학 잇달아

경북 봉화군 영풍 석포제련소의 '폐수 재이용 시설'이 가동 3년째를 맞으면서 친환경 수처리의 모범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영풍은 지난 2023년 한 해 동안 석포제련소에서 발생한 공정 사용수 88만6천403㎥(886,403,000ℓ)를 전량 외부 배출 없이 폐수 재이용 시설로 처리해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연간 방류량 '0'를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석포제련소가 지난해 한 해 동안 폐수 재이용 시설을 이용, 절약한 취수량은 약 290만 명이 하루 사용하는 물의 양과 맞먹는다.
이 회사는 2021년 5월 세계 제련소 최초로 'Z.L.D(Zero Liquid Discharge)'란 폐수 재이용 시설을 도입했다.
이 시설은 '상압 증발 농축식'으로 제련 공정에서 발생한 폐수를 정수 처리한 다음 고온(100℃ 이상)으로 끓여 수증기를 포집하는 방식으로 깨끗한 물을 100% 회수해 공정에 재사용하는 시스템이다.
하루 최대 처리 용량은 4천㎥로, 현재 하루 평균 2천~2천500㎥의 공정 사용수를 처리해 전량 공정에 재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영풍 석포제련소의 폐수 재이용 시설이 수 처리의 우수 사례로 주목 받으면서 2차전지 회사와 지자체들의 벤치마킹도 잇따르고 있다.
영풍 관계자는 "세계 제련소 가운데 폐수 배출 제로를 달성한 사례는 유례가 없는 일로 우리나라 산업 환경 발전에 한 획을 그은 사례로 평가 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글로벌 친환경 제련소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영풍은 1949년 경북 봉화군에 설립된 글로벌 비철금속(아연)기업으로 아연 생산 능력 기준, 세계 4위 규모(최대 생산 능력 연간 40만톤)를 자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