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사실관계 규명 중이니 지켜봐야" vs 野 "수사 외압 결정적 증거"
"대통령과 국무위원 간 '업무통화'로 보인다" 의견도
해병대 수사단이 '채 상병 순직 사건'을 경찰에 이첩한 당일 윤석열 대통령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세 차례 통화했다는 언론 보도를 놓고 여야가 설전을 펼쳤다.
보도에 따르면 박정훈 전 해병대수사단장 항명 혐의를 재판 중인 군사법원이 통신사로부터 받은 '이 전 장관의 통신기록 조회 결과', 이 전 장관이 지난해 8월 2일 윤 대통령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세 차례 받았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29일 윤 대통령과 이 전 장관 통화 보도에 대해 "수사를 지켜보자"며 논란 확산을 경계했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윤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의 통화 보도 관련 질문에 "제가 그 유무 자체를 확인하기도 어렵다"며 "공수처에서 수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공수처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공수처 등 수사기관이 신속하고 공정하고 엄정하게 수사하고, 그 결과를 국민에게 알려드리기를 기대한다"며 "우리도 그 결과를 지켜보며 그다음 대응을 말씀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야당이 두 사람 통화를 두고 '대통령의 외압 의혹'이 짙어졌다며 특검법을 재추진하려는 것과 관련,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오히려) 공수처가 사실관계를 신속하게 규명 중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것 아니냐"며 "공수처가 드러나지 않았던 사실을 잘 밝히고 있다면, 자꾸 특검을 운운할 게 아니라 수사 결과를 잘 지켜보면 될 일"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민주당이 22대 국회가 시작하기도 전에, 특검법이 부결되자마자 재발의를 이야기하고 표 계산과 이탈표를 운운하는 것 자체가 '기승전 정쟁용' 법안이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윤 대통령과 이 전 장관 전화 통화 보도를 두고 "수사 외압의 스모킹건(결정적 증거)"이라며 공세에 나섰다. 해당 통화에서 윤 대통령의 위법 행위가 확인될 경우 명백한 탄핵 사유라는 주장도 나왔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서 "이 통화 사실이 윤 대통령의 운명을 어떻게 가를지 아직은 아무도 모른다"면서도 "채 해병 수사외압 의혹 사건에서 대통령의 격노설이 안갯속 의심이었다면, 대통령이 직접 국방부 장관과 세 차례 통화했다는 진실의 문은 스모킹건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 국정농단 사건 때 태블릿PC는 '박근혜 탄핵'의 스모킹건이자 트리거(방아쇠)였고, 박 대통령은 결국 탄핵당했다"며 "대통령의 세 차례 통화, 이 사실이 과연 제2의 태블릿이 될 것인가"라고 덧붙였다.
민주당 '해병대원 사망사건 진상규명 TF' 단장인 박주민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제 대통령이 통화한 것까지 나왔다. 전방위적으로 뭔가 압력이 행사됐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