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지방선거에서 통합단체장 선출하자"
민선 8기 출범 후 잠잠했던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가 2년 여 만에 수면 위로 떠올랐다. 그간 행정통합에 부정적 기색을 내비춰 왔던 홍준표 대구시장의 제안에, 이철우 경북지사도 적급 화답하고 나섰다.
이 도지사는 지난 18일 자신의 SNS를 통해 '대구경북 행정통합으로 다시 대한민국 중심으로'라는 글을 게시했다. 이 도지사는 "1949년 인구조사 때 2천16만 명 국민 중 경북이 321만 명으로 전국 1등이었다.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서울로 몰려들기 시작해 1970년 인구조사 때 서울 1등, 경북 2등 순으로 순위가 바뀌었다"며 "이후 수도권 인구가 점점 늘면서 수도권은 과밀화 등 각종 폐해가 심각한 수준이고, 지방은 청년이 해마다 10만 명 이상 서울로 가고 있어 소멸을 걱정하는 실정"이라고 했다.

이 도지사는 수도권 과밀화 등이 저출생, 국가 소멸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진단했다. 이어 그는 "수도권 1극 체제로는 저출생 문제와 지방소멸 등 국가적 난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충청, 호남, TK, PK 등 500만 명 이상의 시·도 통합을 통해 다극 체제의 행정개편을 해 지방을 활성화 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정부 차원의 지원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도지사는 "홍준표 대구시장이 그동안 행정통합에 부정적 의사를 바꿔 적극적 통합을 주장해 매우 다행"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광역, 기초단체를 자연스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제공 등 대대적 행정 개편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대구경북 행정통합과 관련해선 구체적 일정도 제시했다. 그는 "대구시와 경북도는 2019년도 행정통합 공론화 등 연구실적이 충분하다"며 "시·도 실무자, 시민단체, 학계 등 전문가로 행정통합 TF 구성, 올해 내 각 시·도의회 의결, 내년 상반기 중 대구경북행정통합 법안 통과, 2022년 지방선거 때 대구경북 통합단체장 선출을 통해 다시 대구·경북이 대한민국 중심지로 거듭나도록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