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전대 출마설에 "당사자 문제"라면서도 '선거 책임론' 부각 해석
"전대룰, 당원 뜻 따라 선출된 지도부가 정해야"…비대위 논의에 부정적
국민의힘 차기 원내대표 유력 출마설이 돌았던 친윤계 이철규 의원이 당 대표 출마설이 도는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견제하는듯한 발언으로 이목을 끌고 있다.
이 의원은 8일 SBS라디오 인터뷰에서 한 전 비대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 여부와 관련해 "내가 이번에 원내대표(도전)를 안 하겠다는 결심을 가진 근저에는, 공천관리위원으로서 우리가 진 선거 결과에 느낀 책임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당직 선거에 나오는 것을 누가 나와라, 나가지 말라 말할 수 있겠느냐. 그것은 오로지 나가는 당사자가 판단할 문제"라면서도 "제가 당과 국민을 위해 더 정치적 기여를 하고 싶은 욕망을 접은 배경은 거기(책임감)에 있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두고 총선을 총지휘한 한 전 위원장의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에 대해 비판적인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한다.
다만 이 의원은 '한 전 위원장도 책임감을 느끼고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냐'는 사회자 물음엔 "아니다. 그건 본인 각자가 판단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이 의원은 여당의 총선 패배 책임론을 두고는 "선거는 당이 치르는 것"이라며 "무조건 우리(당)는 잘못이 없는데 대통령이 잘못했다, 용산이 잘못했다고 프레임을 짜는 것은 지극히 위험하다"고 말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보다 한동훈 전 위원장 책임이 크다는 이야기냐'는 물음엔 "한동훈 한 사람의 책임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다"며 공천과 선거 캠페인,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등에서 부족함이 있었다고 답했다.
한편, 이 의원은 전당대회 룰 개정 문제와 관련해선 "선출된 권력, 정통성 있는 권력이 이 제도를 바꾸는 게 맞다"며 "당원 뜻에 따라 선출된 당 지도부가 당직자의 선출 규정, 그다음에 공직 후보자의 공천 경선 규정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를 결정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대에는 현재 '당원투표 100%'인 대표 선출 규정을 그대로 적용하고, 향후 어떻게 손볼지에 대해선 황우여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아니라, 전당대회를 통해 새롭게 선출될 지도부에 맡기는 것이 옳다는 지적으로 해석된다.
댓글 많은 뉴스
[계엄 두 달]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는 다른 尹 지지율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이준석 "케네디, 오바마도 40대에 대통령"…사실상 대선 출마 선언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