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해 심야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50년 만에 5차 중동전쟁으로 번질 우려가 커지면서 글로벌 경제에도 먹구름이 드리웠다.
다니엘 하가리 이스라엘군 수석대변인은 "이란이 13일(현지시간) 밤부터 14일 오전까지 이스라엘을 겨냥해 미사일과 드론(무인기)을 200발 넘게 발사했다"면서 "그 미사일의 대다수는 우리 방공체계에 의해 이스라엘 국경 밖에서 요격됐다"고 밝혔다.
이란은 이번 공격에 '진실의 약속'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지난 1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주재 이란 영사관을 이스라엘이 폭격, 이란 혁명수비대 고위급 지휘관 등 10여 명이 숨지자 이란은 수차례 보복을 천명해 왔다.
이란이 이스라엘을 직접 공격한 경우는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래 없었다. 심지어 이란은 지난해 10월 7일 시작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에서도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와 예멘 후티 반군, 이라크·시리아에서 활동하는 친이란 민병대를 앞세워 이른바 '그림자 전쟁'을 치러왔다.
이스라엘은 이란을 향해 강력한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예고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전시내각 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우리는 우리를 해치는 자들을 누구든 해칠 것"이라고 재보복 방침을 밝힌 것.
이 같은 보복의 악순환이 지속할 경우 최악의 시나리오는 중동전쟁 확대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유가 상승으로 국내 산업계 수출 흐름에 악영향을 미칠 공산이 크다. 한국의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반도체가 40%에 가까운 상승세였다.
여기에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무역 구조상 항공·해운 등 물류업을 비롯해 자동차·조선·철강 등 업종에서도 물류비와 함께 생산 원가가 치솟을 수 있다. 연쇄적으로 각종 공업제품 가격은 물론 공공요금 인상도 유발할 수 있다.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으로 안전 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면 강달러 현상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 고환율까지 겹치면 원재료 도입 비용도 커져 기업의 수익성은 더욱 나빠진다.
이에 정부도 중동의 지정학적 위험 수준과 국내외 원자재 및 금융 수준에 끼칠 영향을 점검하는 긴급회의를 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대통령실에서 '중동 사태에 따른 긴급 경제·안보 회의'를 열고 "범정부 차원의 국제 유가, 에너지 수급 및 공급망 관련 분석·관리 시스템을 밀도 있게 가동할 것"을 지시했다. 이어 "이스라엘과 중동에 있는 우리 국민, 기업, 재외공관의 안전을 비롯해 인근 지역을 항행하는 우리 선박에 대한 안전 대책을 철저히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기재부 주요 간부가 참석한 가운데 대외경제점검회의를 열고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을 매일 가동해 24시간 모니터링하는 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 한국무역협회 등과 함께 긴급점검회의를 열고 원유 수급 상황과 국내 수출 기업들의 해상 물류·운송 상황 등을 살폈다.
댓글 많은 뉴스
이낙연 "민주당, 아무리 봐도 비정상…당대표 바꿔도 여러번 바꿨을 것"
위증 인정되나 위증교사는 인정 안 된다?…법조계 "2심 판단 받아봐야"
'국민 2만명 모금 제작' 박정희 동상…경북도청 천년숲광장서 제막
박지원 "특검은 '최고 통치권자' 김건희 여사가 결심해야 결정"
일반의로 돌아오는 사직 전공의들…의료 정상화 신호 vs 기형적 구조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