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에 흔들리는 경북농업] 기술적 대응과 사전 예측 시스템 강화해야
이상 기후에 강한 품종 및 재배 기술 개발도 시급
이상 기후가 일상이 된 기후 변화가 경북의 과수 농업지도까지 바꾸고 있다.
경북 대표 과일인 사과의 재배 지역은 강원도로 점차 북상했고, 사과의 빈 자리는 아열대 기후에 재배되는 만감류나 아열대 작물이 서서히 채우는 상황이다.
2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경북의 사과 재배 면적은 2018년 1만9천780㏊에서 지난 2020년 1만8천705㏊로 감소했다.
재배면적은 기후 영향을 덜 받는 신품종이 개발되면서 2021년 2만955㏊로 확대되기도 했지만, 이마저도 지난해 2만151㏊로 집계돼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 1993년 경북의 사과재배 면적(5만6천172㏊)과 비교하면 30년 만에 44.1%나 줄어든 셈이다. 반면 지난 2010년 392㏊에 불과했던 강원도의 사과 재배 면적은 지난해 1천679㏊로 4.3배 확대됐다.
사과·배 등이 떠난 빈 자리는 그동안 경북에서 생산하기 어려웠던 아열대 작물이 잠식하고 있다.
경북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포항·경주·영덕·울진 등 경북 동해안 4개 시·군의 월 평균 기온은 1년에 8개월 이상 10도(℃) 이상으로, 아열대 기후에 근접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동해안 지역에는 아열대 작물인 천혜향 등 감귤류와 망고, 바나나, 파파야, 카사바 등이 생산이 늘고 있다.

경북 도내 아열대작물(만감류 포함) 재배면적은 지난달 기준 46㏊로, 2020년 34.7㏊보다 32.6% 증가했다. 22개 시·군 가운데 18곳에서 아열대 작물을 키우고 있고, 경주와 포항은 각각 12㏊(26%), 3.3㏊(7%)를 차지했다.
그러나 재배 작물 교체만으로는 일상화한 이상 기후를 따라가기 어렵다는 목소리도 높다.
전문가들은 이상 기후에 대비하려면 열풍 방상팬, 미세 살수장치 등 기술적인 대응책을 활용해 냉해 등 피해를 줄이는 한편 이상 기온을 예측,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강화해야한다고 지적한다.
더불어 이상 기후에 강한 품종과 재배 기술을 도입하고, 기술 개발에 필요한 정부와 지자체의 재정적 지원과 관련 정책 활성화 등도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영숙 경북도 농업기술원장은 "과거에는 볼 수 없던 새로운 작물에 맞게 농업 기술을 연구해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