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원 문제로 직역과 협상 사례 없어…과오 반복 않겠다"

입력 2024-03-14 11:28:52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2차관)이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2차관)이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증원 정책에 반대한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정원 문제를 두고 특정 직역과 협상한 사례는 없다며, 의대 2천 명 증원 고수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14일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 총괄조정관은 중대본 회의를 마친 뒤 열린 브리핑에서 정부는 정원 문제를 두고 특정 직역과 협상한 사례는 없다고 말했다.

박 조정관은 "변호사도, 회계사도, 약사도, 간호사도 마찬가지"라며, 특히 "'협상하지 않으면, 환자의 생명은 위태로워질 것이라는 식'의 제안에는 더더욱 응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의료개혁과 관련해서는 "의료계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할 것"이라며 "개혁이 잘 정착되도록 제안해주는 어떠한 의견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부터 산부인과학회와의 간담회를 시작으로, 각 필수의료 전문학회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진행할 예정"이며 "현장 의견을 경청하고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지역의료 강화를 위한 정책 방안으로 "기존 수련생인 전공의에게 의존하는 현행의 병원 운영체계를 전문의 중심으로 전환하고,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병원-의원으로 이어지는 의료전달체계 개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립대병원 등 지역 거점 병원의 역량을 수도권 주요 5대 병원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도 약속했다.

박 조정관은 "올해 안에 법 제·개정을 거쳐 2025년 본격 시행할 계획"이라며 "지역 내 의료기관의 허리 역할을 하는 지역 종합병원도 집중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