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다시 특임부총장 신설 움직임…왜?

입력 2024-01-31 18:16:23 수정 2024-01-31 22:04:33

특수 사무에 대해 총장 보좌하는 역할
2022년 한차례 신설 시도…교수회 반대에 무산
"큰 사업 대응 전문인력 필요" vs "보직 남발"

경북대학교 북문을 지나 학생들이 교정으로 들어가고 있다. 매일신문DB
경북대학교 북문을 지나 학생들이 교정으로 들어가고 있다. 매일신문DB

경북대가 지난해 한 차례 무산된 '특임부총장' 신설을 재추진해 논란이 일고 있다.

'글로컬대학', '라이즈(RISE) 사업' 등 교육부의 정책 변화에 맞춰 총장을 보좌하며 해당 업무를 담당할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는 게 이유다.

그러나 올해 10월 총장 임기 만료를 앞두고 총장 보좌 보직을 만든다는 사실에 의구심을 제기하는 시선도 적지 않다.

31일 경북대에 따르면 최근 발표한 학칙 일부개정(안)에 특임부총장을 신설하는 안이 포함됐다. 특임부총장을 신설해 특수한 사무에 대해 총장을 보좌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게 골자다.

경북대는 특임부총장 신설을 시도했지만 교수회의 반대에 부닥쳐 무산됐다. 당시 교수회는 이미 부총장 3명이 있는 상황에서 특임부총장은 불필요하다며 반대한것으로 전해졌다.

특임부총장 신설은 학교나 정부의 대규모 사업 등을 이끌고 대응할 전문 인력 필요하다는 점이 배경이다. 최근 글로컬 대학, 무전공 확대 등 교육부의 대형 사업들이 이어지면서 이를 전담 인력이 필요하다는 게 학교 측의 설명이다.

경북대 관계자는 "부총장 3명이 있지만 각자 업무가 있다보니 특정 업무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각 처장들 역시 추가 업무를 맡기엔 부담이 크다"며 "특정인이 계속 보직을 이어가기보다는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이를 잘 대응할 수 있는 전문성 있는 인물을 임명할 수 있도록 규정을 열어둘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총장 임기 종료를 앞둔 시점에 특임부총장직 신설이 의아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학교 한 관계자는 "올해 총장 임기가 만료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보직을 또 신설한다는 것은 조직 개편 남발 등으로 비춰질 수 있다. 이미 신설이 무산된 보직을 재신설한다는 점도 의아하다"며 "특수한 사무 처리를 위한 보직 신설이 사적인 일을 처리한다거나, 개인 친분에 따라 보직을 준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여지가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 경북대는 개정안에 특임부총장직 신설 안건만 올린 상황으로 추후 법제심의위원회와 교수회 절차를 거쳐 신설을 최종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대학본부 관계자는 "업무 전문성과 수월성을 보장하고자 신설을 검토하는 것이지 보직자 수를 증가시키려는 것이 아니다. 올해 역시 법제심의위원회와 교수회에서 반대가 나오면 신설을 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