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기 좋은 지방시대' 5대 전략 프로젝트 공개

입력 2024-01-29 18:34:10 수정 2024-01-29 20:40:3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어디서나 살기 좋은 대한민국' 지방시대위, 인구증대 및 일자리 창출대책 발표
지방분권·교육개혁·혁신성장·특화발전·생활복지 5대 전략 설정

홍준표(오른쪽) 대구시장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29일 오후 대구 북구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홍준표(오른쪽) 대구시장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29일 오후 대구 북구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지방시대 종합계획 및 2024년 시행계획 설명회'에 참석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정부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해소하는 획기적인 대책을 모은 '지방시대 종합계획'과 인구 증대 및 일자리 창출 대책을 29일 공개했다.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목표로 사람들이 지역에 투자하고 머물수 있도록 획기적인 특례를 부여하는 게 골자다.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이날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지방시대 시행계획 및 초광역권 발전 시행계획 설명회'를 열고 관련 계획을 발표했다.

위원회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인구·소득·일자리 지표가 양극으로 치닫고 있으며, 226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89개가 인구감소지역으로 전국 시·군·구가 소멸 위기에 처했다고 진단했다.

이 자리에서 위원회는 심화되는 수도권 일극체계를 극복하고 국토균형발전을 이끌 5대 전략과 전략별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5대 전략은 ▷지방분권 ▷교육개혁 ▷혁신성장 ▷특화발전 ▷생활복지 등 각 분야에 걸쳐있다.

정부는 우선 '인구감소지역 부활 3종 프로젝트'를 가동해 비수도권 생활인구를 늘려 나간다.

우선 1주택자가 인구감소지역의 주택을 신규 취득할 때 1주택자로 계속 간주하도록 세제 혜택을 준다.

유동 인구를 끌어들이도록 '관광 인프라'도 조성한다. 관광단지 지정규모를 기존 50만㎡ 이상에서 5㎡ 이상~30만㎡ 미만으로 완화한 '미니 관광단지'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29일 오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29일 오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지방시대 종합계획 및 2024년 시행계획 설명회'에서 홍준표 대구시장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이와 함께 외국인 유입을 늘리도록 지역특화형 비자(F-2-R) 부여하는 지역을 확대하기로 했다.

농어촌 활력 증진 방안으로는 민간투자와 연계해 농어촌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정착 지원을 강화한다.

올해 하반기까지는 공공정책수가 등 보상을 강화해 지역 필수 의료분야로 의료 인력 유입을 촉진할 방침이다.

더불어 교육발전특구와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통해 지방 정부 주도로 일자리 창출과 취·창업 및 정주로 연결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한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역 공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 인재 양성과 지역 정주 생태계를 마련하는 체계다. 유아기부터 초·중·고 및 대학까지 지역 내에서 진학하고, 취업과 정착까지 이어지도록 해 지역 인재 유출을 막는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활성화하고, 지역 산업 및 사회 연계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선도대학인 '글로컬(Glocal) 대학 지정 등으로 지방대학을 살린다.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은 "이제는 지방정부 중심으로 정책의 큰 대전환이 필요하다. 국민의 기본권 중 하나인 기회 공정성 확보를 정책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면서 "젊은이들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현상은 '교육'의 문제이기 때문에 교육 정책을 균형발전의 핵심 정책으로 삼아 추진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