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이 기대수명까지 산다고 가정할 경우 10명 중 4명 꼴로 암에 걸린다는 통계가 나왔다. 다만 의료기술이 발달하고 조기검진이 확대되면서 이제 암환자 10명 중 7명 이상은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국가암등록통계사업으로 수집한 2021년 국내 국가암등록통계를 28일 발표했다.
해당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새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7만7천523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 늘었다. 남자가 14만3천723명, 여자가 13만3천800명이었다.
신규 암환자는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줄었으나 이후 의료서비스 이용 회복, 암 등록지침 개정에 따른 등록대상범위 확대 영향 등으로 재차 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시작한 2020년에는 국가 암검진 수검율이 49.2%였으나, 이듬해 55.1%로 올랐다.
우리 국민이 기대수명(83.6세)까지 살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8.1%로 집계됐다. 남자(기대수명 80.6세)는 5명 중 2명(39.1%), 여자(기대수명 86.6세)는 3명 중 1명(36.0%)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2021년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다. 이어 대장암, 폐암, 위암, 유방암, 전립선암, 간암 순이었다. 남자는 폐암-위암-대장암, 여자는 유방암-갑상선암-대장암 순으로 많았다. 사망자의 경우 폐암-간암-대장암-위암-췌장암 순으로 많았다.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9.3명을 기록해 OECD 평균(300.9명)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수치는 미국(362.2명), 캐나다(348.0명), 프랑스(341.9명), 이탈리아(292.6명)보다 낮다.
2017∼2021년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2.1%였다. 암환자 10명 중 7명은 5년 이상 생존했다는 뜻이다. 상대생존율이란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이다. 상대생존율이 100%라면 일반인과 생존율이 같다는 뜻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의료기술 발전으로 암 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암은 조기 발견이 중요한데, 국가암검진사업 확대로 검진율이 올라가는 점도 생존율 상승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야고부-석민] 여론 조사? 여론 조작?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