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최초 '낙서 테러' 10대, "세종대왕상에도 낙서" 지시받았다

입력 2023-12-21 21:41:22

지난 16일 오전 서울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방향 담장에 스프레이로 불법 영상 공유 사이트를 표시한 낙서테러가 발생했다.(사진 위쪽) 문화재청은 담장 훼손 현장에 임시 가림막을 설치하고 전문가들과 함께 훼손 현장을 보존처리 약품을 이용해 세척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6일 오전 서울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방향 담장에 스프레이로 불법 영상 공유 사이트를 표시한 낙서테러가 발생했다.(사진 위쪽) 문화재청은 담장 훼손 현장에 임시 가림막을 설치하고 전문가들과 함께 훼손 현장을 보존처리 약품을 이용해 세척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복궁 담벼락에 최초로 스프레이 낙서를 남긴 임모 군(17)이 범행 당시 경복궁 외에도 서울 광화문광장에 있는 세종대왕상에도 낙서를 하도록 지시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임군이 현장 인근에 배치된 경찰을 보고 이를 거절하면서 실제 범행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21일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임 군은 텔레그램에서 '일하실 분, 300만 원 드린다'는 글을 보고 먼저 연락해 자신을 '이 팀장'이라고 소개한 인물을 알게 됐다. 이 팀장이 "경복궁 등에 낙서를 하면 돈을 주겠다"는 제안을 하면서 임 군에게 '영화 공짜' 등 문구와 불법 영화 공유 사이트 주소를 알려준 것으로 전해졌다.

임 군은 여자친구인 김모 양(16)과 함께 이 팀장에게 지시받은 대로 16일 오전 1시 42분부터 영추문과 국립고궁박물관 쪽문에 낙서를 하고 텔레그램으로 실시간으로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이 팀장은 "세종대왕상에도 낙서를 하라"고 했지만 임 군은 실제 세종대왕상 인근까지 이동했지만 "경찰이 있어 무섭다"며 낙서를 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서울경찰청 담벼락을 다음 목표로 지목했고 임 군은 마지막으로 해당 장소에서 범행을 했다.

이 팀장은 범행 후 "수원 모처에 550만 원을 숨겨놓겠다"고도 했지만 실제로 돈을 주진 않았다. 또 경찰 수사가 본격화되자 "두 사람은 망한거 같다. 도망 다녀라"는 메시지를 마지막으로 보냈다고 한다.

한편 서울 종로경찰서는 임 군에 대해 문화재보호법 위반 및 공용물건손상 혐의로 20일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고 21일 밝혔다. 임 군에 이어 모방범행을 감행한 20대 남성 설모 씨에 대해서도 문화재보호법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문화재청은 임 군과 김 양의 경우 미성년자인 만큼 부모에게 거액의 복구 비용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