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신춘문예 동화 부문 당선소감 / 정유나

좋은 동화를 쓸 수 있을까? 동화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동화 쓴다는 걸 쉽게 생각했던 건 아닌지 자문하며 깊은 고민에 빠진 적이 있습니다. 누군가의 뼈아픈 조언보다 혼자서 생각을 정리할 필요가 있었지요.
'진심을 담자.'
글감을 구상하고 초고를 쓸 때 제가 찾은 답을 짚어봅니다. 진심을 담아 쓰고 있는지. 그다음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자. 이 마음가짐이 틀린 건 아닌가 봅니다. 담고 채우다 보니 당선이란 선물을 받으니 말입니다. 재미있고 좋아하는 것이 일이 된다는 건 큰 행운입니다. 이제 시작이라 생각하고 아이들 가슴에 남는 재미있고 선한 동화를 쓰겠습니다.
당선 전화를 받고 가족이 먼저 떠올랐습니다. 정진규 사장님, 배말순 여사님, 제 안에 있는 깜찍한 동심은 두 분이 심어주신 거랍니다. 감사해요. 하나뿐인 동생아, 덕분에 시작이 좋아. 고마워. 다정한 시부모님 감사합니다. 하준구 씨, 함께 해줘서 고마워. 축복이랑 즐겁게 살아요.
제가 동화를 쓸 수 있다는 걸 깨닫게 해주신 정해왕 선생님, 차근차근 이끌어주신 강효미 선생님, 감사합니다. 함께 공부했던 글벗들에게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축복을 두 배로 만들어 주신 매일신문사와 심사위원님께 감사드립니다.
〈약력〉
1985 마산 출생
진주 거주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