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중진·친윤 초선 행보 주목…"당 망친 사람들 나가야" 주장도
국민의힘 김기현 전 대표와 장제원 의원이 '주류 희생' 요구에 응답해 '2선'으로 자진 퇴장한 가운데 이른바 '김장연대'에 이어 여당 내 추가 희생 결단이 이어질지에 관심이 모인다.
친윤 그룹 핵심인 김 대표는 13일 대표직 사퇴, 장 의원은 12일 총선 불출마를 전격 발표하며 백의종군을 택함으로써 자칫 혁신위원회 해산으로 꺼질 뻔한 당내 인적 쇄신의 불씨를 살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4일 당내에서는 '김장연대'에 이은 용퇴 흐름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윤희석 선임대변인은 한 시사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어느 분을 콕 집어서 얘기할 수는 없다"면서도 "충분히 그 흐름을 이어갈 수 있는 움직임, 그렇게 인식될 수 있는 움직임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다른 당직자는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누구를 찍어서 그만두라는 게 아니라, 변화의 물결과 흐름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현재로선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으로 불린 원조 친윤 의원들 가운데 추가 희생 결단이 나올지 주목된다. 3선 이상 영남 중진 의원들의 선택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
김 전 대표 사퇴 전 국민의힘 의원 단체 메신저 방에 '김기현 체제 옹호' 글을 올렸던 10여명의 친윤 초선도 쇄신 대상으로 거론된다.
한 비주류 의원은 "당을 망친 사람들, 전당대회 때 연판장을 돌리고 이번에 또 김 전 대표를 옹호하고 나섰던 초선들도 나가야 한다"며 "오히려 험지에서 박빙으로 이겨 온 친윤 중진들보다는 그런 초선들, 특히 주도자들이 나가야 인적 쇄신이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한편에선 '김장연대' 희생으로 인적 쇄신 분위기는 충분히 살렸고, 이제는 추가 불출마를 종용하기보다는 당내 갈등을 수습하고 총선 준비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남은 인적 쇄신은 공천관리위원회의 몫이라는 견해도 있다.
선수, 나이, 지역 등으로만 기준을 삼기보다는 실제 의정활동 성과, 당 안팎의 평판 등 객관적 기준으로 물갈이와 당 혁신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국민의힘 한 당직자는 "이제 인적 쇄신 이야기할 것은 더 없고, 나머지는 공천으로 하면 된다"며 "민주당 김종인 위원장도 이해찬·정청래 정리로 명분을 획득하고 공천을 쇄신해 선거에서 이기지 않았느냐. 우리도 가장 책임 있는 사람들이 솔선한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