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혁신처 정부 차원 첫 실태조사 공개
국가공무원의 감정노동 수준이 '위험'으로 심각하다는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인사혁신처는 13일 중앙행정기관 소속 공무원 1만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무원의 직무수행 관련 감정노동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감정규제 ▷감정 부조화 ▷조직 모니터링 등 각 진단 영역에서 공무원들의 감정노동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위험' 수준이었다.
외부 관계자와의 갈등이나 재량권 부재로 인해 자신의 감정이 상처받거나 자존심이 상하는 등 '정서적 손상'과 감정적 어려움의 정도를 측정하는 '감정부조화' 분야에서 여성은 10.1(정상 3∼7, 위험 8∼12), 남성은 9.4(정상 3∼6, 위험 7∼12)로 집계됐다.
감정노동 원인으로는 ▷장시간 응대·무리한 요구로 업무 방해(31.7%) ▷폭언·협박(29.3%) ▷보복성 행정제보·신고(20.5%) 등을 지목했다.
감정노동에 따른 영향에는 ▷직무스트레스 증가 및 자존감 하락(33.5%) ▷업무 몰입·효율성 저해(27.1%) 등으로 나타났다.
공무원들은 감정노동 대응 방법으로 '개인적으로 참아서 해결한다'(46.2%)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주변 동료와 상담(21.5%) ▷상사에게 도움 요청(16.4%) ▷상대방에게 항의(7.4%) ▷소송 등 대응 강구(5.2%) 등의 순이었다.
감정노동이 신체·심리적 질병으로 번지더라도 '아무 조치를 하지 않음'(61.1%) 답변이 절반을 넘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병가 사용(11.3%), 전문 심리상담(8.4%), 병원에서 치료(6.9%) 등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인사처는 "민원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관계기관과 협업해 심리적 고위험군에 대한 치료 지원, 기관 차원의 법적보호 강화, 건강 검진비 지원 확대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삼성 라이온즈의 '아픈 손가락' 최충연과 양창섭, 기지개 켜나
"커피도시 부산"…부산시, 월드커피챔피언 3인과 부산형 커피 음료 만든다
의성군, 산사태 특보 기준 통일·대응 강화
[속보] 특검 "추경호, 계엄 직후 尹뿐 아니라 한덕수와 통화"
[TV] 낯선 땅으로 건너온 조선인의 생존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