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여성정책개발원 ‘글로벌 FTA시대 스마트여성농업인 양성과정’ 통해 한단계 성장
"경북 농업 대전환 시대를 맞아 한국판 에덴 프로젝트를 의성에 만드는 것이 꿈입니다."
맥주 주원료 중 하나인 홉으로 사업을 하는 창농 기업가 장소영 '홉이든' 대표의 최종 목표다. 영국 잉글랜드 콘월에 있는 축구장 32개 크기의 세계 최대 온실 에덴 프로젝트를 홉 농장이 있는 의성에 만들어 지방 소멸에 대응하고 미래 농업을 이끌어가겠다는 것이다.
6년 전 경북 의성으로 귀촌해 홉 농장을 시작한 그는 회사명도 홉과 에덴을 합쳐 홉이든으로 지었다. 7천603㎡ 규모 홉 농장을 운영하는 그는 홉을 원료로 하는 콤부차(가미 발효차)를 자체 생산하고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을 통해 맥주를 만들고 있다.
장 대표는 "홉은 기계화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고부가 가치가 높은 농업이다. 홉 농장은 높은 홉 줄기와 주렁주렁 달리는 꽃 덕분에 경관 조경으로도 관광 상품화가 가능하다"며 "에덴 프로젝트와 같은 대형 식물원 운영을 통해 축제와 교육, 경제를 활성화해 지방 소멸에도 대응할 수 있는 미래 유망 농업"이라고 말했다.
특히 올해는 장소영 대표가 목표를 향해 큰 발걸음을 내디딘 한 해가 됐다. 경북여성정책개발원에서 진행한 '글로벌 FTA시대, 스마트 여성농업인 양성과정'을 수료하면서 한층 더 전문성을 갖춘 기업가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이번 교육과정은 ▷FTA시대 농업정책이해 ▷창농지원정책 ▷창농사업계획 ▷창농우수사례 ▷여성농업인 성공사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활용 마케팅 ▷세무·법률 ▷맞춤형 컨설팅 등 총 13회, 52시간의 교육으로 구성됐다. 장 대표는 전 과정 수료는 물론이고 교육컨설팅과 프리마켓을 모두 참여했다.
특히 전문가 컨설팅으로 진행한 라이브커머스 방송에서는 1시간 만에 콤부차 1천200병을 판매하는 성과를 거뒀다.
장 대표는 "FTA협정으로 인해 명맥이 끊긴 국내 홉의 역사를 이해하고 새로운 유통 시장에 대해서 심도 있게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며 "이번에 교육을 받은 수료생 23명과도 기업가로서 함께 고민하고 서로 배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가 만들어져 앞으로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그는 "일대일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라이브커머스를 운영하는 방법부터 장비와 시스템 구성, 진행 방식 등을 시작부터 끝까지 알차게 배울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며 "경북여성정책개발원에서 진행한 이번 교육을 통해 FTA 완전 개방화 시대에 농업인으로서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홉이든 뿐 아니라 기업가로서도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