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앞 혁신나선 여야, 행보엔 희비 교차

입력 2023-11-19 17:18:04 수정 2023-11-19 21:05:44

與 '닥치고 혁신' 모드에 이슈 몰이…野, 총선 앞두고 혁신 없이 내부 분열만 가속화

김무성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8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인요한 혁신위원장. 연합뉴스
김무성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8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인요한 혁신위원장. 연합뉴스

국민의힘 혁신위원회의 '이슈 몰이'에 여야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국민의힘은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 직후 팽배하던 수도권 위기론을 딛고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국민의힘보다 먼저 혁신위를 띄웠던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친위대'라는 비판 속에 혁신안 선점 및 수용에 실패하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내부 분열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與 '닥치고 혁신' 모드에 이슈 몰이

지난달 23일 인요한 혁신위원장 임명되며 시작된 국민의힘 쇄신 작업은 많은 논란에도 이슈 몰이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특히 김기현 대표로부터 전권을 위임받은 인 위원장이 "와이프와 자식 빼고 다 바뀌어야 한다"는 공언대로, 당 환부에 거침없이 메스를 들이대는 것이 효과를 얻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로 드러난 수도권 민심 이반과 관련해 급한 불은 껐다는 얘기가 당 안팎에서 잇따라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강서 보선 직후 당 상황이 절망적이었던 데 반해 혁신위 출범 한 달이 지난 지금은 내년 총선을 두고 '한 번 해볼 만하다'는 얘기가 다시 회자된다"며 "다양한 혁신안이 아직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국민들께 '국민의힘이 변화하려고 노력한다'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있다는 점에서 절반의 흥행이라도 성공했다"고 전했다.

인요한 혁신위는 지금까지 총 4개 혁신안을 제시했다. 당내 화합이 최우선이라는 기조 아래 이준석 전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 등에 대한 일괄 징계 취소를 1호 안건으로 의결했다.

곧이어 '기득권 내려놓기'를 위해 국회의원 숫자 10% 감축과 불체포특권 전면 포기에 대한 당헌당규 명문화, 국회의원 세비 삭감 등을 골자로 한 2호 안건을 제시했다.

3호 안건으로는 비례대표 명부 당선권에 45세 미만 청년을 50% 할당하고 당 우세 지역구를 '청년 전략 지역구'로 선정하는 방안을 내놨다. 가장 최근엔 대통령실 참모 출신도 포함되는 '모든 지역구 전략 공천 배제'를 4호 안건으로 의결했다. 가장 민감한 수직적 당정관계까지 쇄신 대상에 포함시킨 것이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전후로 30% 초반대까지 떨어졌지만 인요한 혁신위가 출범하며 반등에 성공, 최근엔 30% 후반대까지 올라선 상황이다. 특히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지율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아울러 인요한 혁신위는 오는 21일 민주당 내 대표적 비명계로 꼽히는 이상민 의원을 초청해 강연을 듣는 등 '적진'을 분열시키는 데에도 성과를 거두는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성남FC 뇌물' 관련 1심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野, 총선 앞두고 혁신 없이 내부 분열만 가속화

민주당은 국민의힘보다 먼저 김은경 혁신위를 출범시켰지만 친이재명계 인사로 구성되면서 자주적인 개혁보다는 근본적 한계만 드러낸 채 조기 종료됐다. 게다가 김 위원장은 발언 구설수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고, 내놓은 혁신안조차 결국 당 내 수용에 실패했다.

당초 혁신위는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파문과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코인 보유 논란 등을 수습하고자 출범했다. 공천 개혁까지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왔다.

혁신위는 민주당 의원 전원의 불체포 특권 포기 및 체포동의안 가결 당론 채택, 꼼수 탈당 방지, 대의원제 개혁, 현역 페널티 강화 등 다양한 혁신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서 제기된 방탄 정당, 공천 문제 등 쟁점을 피해갔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이 대표에 대한 사법리스크 및 공천 개혁은 표면적인 수준의 다듬기에 불과했고, 다선 불출마 관련해선 위원장 개인의 권고를 내놓는데 그치는 등 근본적으로 친명 일색의 한계를 명확히 드러냈다는 평가를 내놓는다.

결과적으로 혁신위 이후에도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 문제로 내부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공천 국면에 접어들면서 비주류의 공천 관련 반발이 터져 나오는 등 분당 혹은 탈당이 기정사실화된 상황이다.

민주당 내 비주류가 주축이 된 '원칙과 상식'모임은 당의 도덕성 문제를 언급하면서 대표 개인의 사법 방어에 당을 동원하는 방탄 정당을 그만해야 한다고 비판을 쏟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