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재배면적 역대 최소…단위당 생산량은 늘어
경북, 지난해 생산량보다 2.0% 감소
올해 벼 재배면적이 감소하면서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6% 줄었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23년 쌀 생산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70만2천t으로 지난해보다 1.6%(6만2천t) 감소했다.
재배면적이 70만8천12㏊(헥타르·1만㎡)로 작년보다 2.6%(1만9천42㏊) 줄어든 영향이다. 이는 여의도의 65배 정도의 면적이다. 올해 재배면적은 197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작다.
다만 지난해보다 기상여건이 좋아지면서 단위당 생산량은 증가했다. 10a(아르·100㎡)당 벼 생산량은 523㎏으로 작년(518㎏)보다 1.0% 늘었다. 벼 낟알이 형성되는 7∼8월에 일조시간이 증가하는 등 기상여건이 좋았기 때문이다.
9∼10월 날씨 변화와 병충해로 지역별로 생산량 편차를 보였다. 시도별 쌀 생산량은 ▷전남(73만7천t) ▷충남(72만7천t) ▷전북(58만2천t) 순으로 많았고 강원(4.0%)과 충남(0.2%)은 지난해보다 생산량이 늘었다.
경북의 경우 지난해 생산량보다 2.0% 감소해 전국 평균보다 더 많은 감소량을 기록했다. 전북(-6.3%), 경남(-1.7%)도 전국 평균(-1.6%)보다 감소율이 높았다.
댓글 많은 뉴스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한덕수 "김문수, 약속 지켜야…사실 아닌 주장 계속되면 바로잡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