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배터리 산업의 날 행사 개최, 권영수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 자신감 내비쳐
한국 배터리 업계가 미래 먹거리로 급부상한 2차전지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 겸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은 지난 1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개최된 '제3회 배터리 산업의 날' 행사에서 "배터리 산업은 마라톤 42.195km에서 이제 4km 정도 뛰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국내 배터리 업계 누적 수주 잔고 1천조원 돌파를 기념하고 업계 종사자를 격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근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로 배터리 산업 관련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권 부회장은 위기가 아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수주 잔고가 1천조원을 넘는 상품은 우리나라 산업군에서 배터리가 유일하다"며 "배터리 산업이 우리나라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기업의 과감한 투자,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래대로 갔으면 돈이 문제가 아니라 공장을 짓는 인력이 감당이 안 되는 수준이었는데 오히려 잘 됐다"며 "급히 성장하다 보니 간과한 것들이 있는데 그런 것을 다지다 보면 배터리가 한 번 더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이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한국 정부와 배터리 기업, 연구기관 등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부회장은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고 통상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정부와 기업, 산학연이 함께 '원 팀'이 돼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했다.
이밖에 저가형 전기차 모델에 탑재되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확대와 중국의 흑연 수출 통제 등의 영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란 답변을 내놨다.
이날 업계 최초로 은탑산업훈장을 받은 지동섭 SK온 대표는 "SK온은 매년 매출이 2배씩 증가해 온 쾌속 성장 기조에 더해 향후 내실 경영을 통한 수익성 제고에도 힘을 쏟을 것"이라며 "협력사들과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한국 배터리 산업의 위상을 높이는 데 더욱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음극재의 국산화를 선도한 포스코퓨처엠 이헌영 상무가 산업포장, 이차전지 관련 연구개발을 통해 배터리 산업 발전을 촉진한 이관수 LG에너지솔루션 연구위원과 김기재 성균관대학교 교수가 대통령표창을 수상하는 등 배터리 산업인 20명이 정부 유공자 포상을 받았다.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은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가 흔들리지 않는 배터리 산업 강국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도 산업계와 한팀으로서 업계의 성장과 시장 개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