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황근 농식품부 장관 "백신접종 3주 뒤 럼피스킨병 살처분 범위 축소 검토"

입력 2023-10-23 11:16:16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서 "전염력 강해 세계적으로 처분 방법 유사"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및 소관기관 종합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및 소관기관 종합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소 럼피스킨병이 확산하며 농가 피해가 우려되자 백신 접종 뒤 살처분 범위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23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춘식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백신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니 3주 정도가 지난 뒤에는 증상이 발현된 개체만 처분하는 쪽으로 (검토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3주는 백신 접종 뒤 항체가 생길 때까지 걸리는 기간이다.

현재 정부는 럼피스킨병이 발생한 농장에서 사육하는 소는 모두 살처분하도록 하고 있다.

정 장관은 "전염력이 강해 세계적으로 처분 방법은 유사하다"며 "농장 단위에서 살처분하지 않으면 주변으로 퍼져 나갈 위험이 크고 유통망으로도 퍼져 나갈 수 있어서 최소한의 살처분 범위가 현재는 농장이라고 결론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럼피스킨병은 구제역과 달라서 농가에 책임을 물을 단계는 아니고 살처분에 대해 100% 보상을 지급한다"고 부연했다.

소 럼피스킨병은 모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된 동물에게서 고열, 피부결절(혹)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우유 생산량 급감, 유산·불임 등의 문제가 생긴다. 폐사율은 10% 이하이며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는다.

럼피스킨병은 지난 20일 국내에서 처음 확인됐고 전날까지 사흘간 경기와 충남에서 모두 10건이 보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