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북-러 군사협력, 불법·부당 행위"…외신 인터뷰서 경고 메시지

입력 2023-09-17 17:08:13 수정 2023-09-17 18:32:38

AP "윤 대통령, 북러 협력 대응 위해 국제사회 더욱 결속할 것" 보도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17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북-러 군사협력은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각종 국제 제재에 반하는 불법적이고 정의롭지 못한 협력"이라고 밝혔다.

AP 통신은 이날 '북-러 군사 협력을 경고한 윤 대통령, 유엔에서도 공론화할 계획'이라는 제목으로 윤 대통령 서면 인터뷰를 게재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북-러 협력과 관련, "국제사회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더욱 결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북-러 협력에 따른 기술 이전 등 북한 핵 위협 우려에 대해선 "북한의 어떠한 핵 공격도 한미의 즉각적·압도적·결정적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고, 이는 북한 정권의 종말로 귀결될 것임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안보협력을 강조하며 "앞으로 한미의 확장억제는 양국이 함께 협의, 결정, 행동하는 일체형 확장억제 체제로 발전할 것이며, 북한의 어떠한 핵·미사일 위협도 억제하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중 관계의 중요성과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로 인한 한중 관계 훼손 우려에 대해 윤 대통령은 "한미일 협력은 특정 국가를 배제하거나 배타적인 그룹을 추구하지 않는다"며 "한미일 3국 모두 한반도와 역내, 글로벌 현안 해결을 위해선 중국의 책임 있고 건설적인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에 가진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 최근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서 가진 리창 총리와의 회담 등을 언급하며 "이러한 계기들을 통해 중국도 한-중 관계를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한중 정상회담 및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와 관련해선, "시 주석은 작년 11월 정상회담 때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면 기꺼이 방한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며 "최근 아세안 정상회의 및 G20 정상회의 계기 만난 리창 중국 총리와 기시다 일본 총리도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힌 바 있다"고 정상회의 가능성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