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띠 졸라매며 지속 가능 성장 가야"
한덕수 국무총리는 7일 윤석열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에 대해 "참여정부 때와 지금 경제정책에 대한 기본 방향은 하나도 달라진 게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의 추경 편성 요청에 대해서는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자신을 포함한 참여정부 경제부총리들을 열거하며 "시장경제의 중요성을 알면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지극히 정상적 경제정책과 철학 체계를 갖춘 부총리들이 노무현 전 대통령 밑에서 근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재정이나 금융 측면에서 확장적 정책을 쓸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나 국민이 좀 더 허리띠를 졸라매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면서 우리가 지속가능한 성장이 되도록 정책 방향을 끌고 가는 것이 옳다"고 지적했다.
한 총리는 박범계 민주당 의원의 '35조원의 국채 발행을 통한 추경 예산 필요성이 있다' 질의에 "동의하기 어렵다. 세수가 이렇게 적자가 나는 판에 추경을 통해 추가 지출을 한다면 적자는 더 커질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 총리는 "우리나라는 아직 기축통화국 반열에 오르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부채를 미국이나 일본처럼 늘릴 수가 없는 상황이라는 점을 이해해 달라"고 부연했다.
이에 박 의원은 "정부가 돈을 풀지 않으면 민간이 채무를 부담해야 한다"며 "금리를 인하할 수도 없는데, 재정지출을 안 하겠다는 건 아무것도 안 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총리는 "그건 재정 확충이 아니고, 더 높은 물가와 특히 자라나는 청년들에게 엄청난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이라고 맞섰다.
이어 "적은 지출이지만, 그 안에서 최대한 어려운 사회적 약자와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를 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내년도 예산의 전체 증가율은 2.8% 이지만 서민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것은 과거 어느 정부보다도 많이 늘렸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이 "2007년 한덕수 참여정부 국무총리,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린 한 총리의 '전향'"이라고 비판하자, 한 총리는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고, 재정의 운영에 있어서는 다소 보수적일지 모르겠지만 그 안에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일은 확실하게 해야 한다는 게 일치된 경제정책이었다"고 반박했다.
한 총리는 법인세 인하와 관련해서도 "혜택이 무조건 다 돈 많은 사람한테만 가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정태호 민주당 의원이 "잘 나가는 초부자 기업들을 위해 세금 깎아줘서 재정 여력을 약화하는 어리석은 짓을 왜 하느냐"는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한 총리는 "2022년 세제개편 세부담 귀착을 조사했더니 총 13조6천억원이었다. 개인 혜택이 3조5천억원, 이 중에서도 서민·중산층이 2조3천억원이고 고소득층은 1조2천억원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법인은 7조1천억원의 귀착 효과가 났는데 대기업은 4조9천억원, 중견기업은 7천억원, 중소기업은 1조5천억원"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