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 30만명 모시기…학업·취업·정착까지 돕는다

입력 2023-08-16 17:25:36 수정 2023-08-16 20:50:18

지자체·대학·지역기업 함께 TF 구성…학업·진로 설계·정착 등 지원
교육계 "유학생 취업 교육 등 제도, 환경 조성해야"

[그래픽] 외국인 유학생 유치 목표. 연합뉴스
[그래픽] 외국인 유학생 유치 목표. 연합뉴스

정부가 대학 경쟁력을 높이고 학령 인구 감소 충격을 완화하고자 2027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0만 명 유치에 나선다.

외국인 유학생이 학업은 물론 취업, 정착까지 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지원 전략을 마련하고, 이공계 인재를 집중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사회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유학생 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Study Korea 300K Project)을 발표했다.

지난해 기준 약 16만7천 명인 외국인 유학생을 2027년에는 두 배에 가까운 30만 명까지 유치하는 것이 목표다.

우선 교육부는 유학생 유치 관문을 더욱 넓힌다.

이를 위해 기존에 기초지자체 단위로 지정되던 '교육국제화 특구'를 광역 지자체 단위의 '해외 인재 특화형 교육 국제화 특구'로 확대·개편한다.

광역지자체장이 지역 발전 전략과 연계해 해외 인재 유치·학업·취업 연계 등 단계별 전략을 마련하면, 교육부가 대학의 유학생 유치를 제약하는 규제 특례 제도를 적용해 주기로 했다.

해외 한국교육원에는 '유학생 유치센터'를 설치해 유학생 유치 활동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자격 등 입학 장벽을 낮춘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유학생 입학 기준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이상이거나 2급을 딴 후 한국어 집중 교육을 이수하는 것으로 돼 있는데 이 기준을 낮춘다"며 "입학 장벽을 완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 토픽 4급으로 돼 있는 졸업 요건에는 변함이 없다"고 했다.

유학생 유치 및 지역 정주를 지원하고자 대학-지역 기업-지자체 등이 함께 '해외인재유치전략 TF'를 구성하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맞춰 학업, 진로 설계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첨단·신산업 분야 유학생을 유치하고자 정부 초청 장학생(GKS) 사업을 확대·개편해 이공계 석·박사생 비율을 30%(지난해 기준)에서 2027년 45%까지 확대한다.

졸업 후에는 이공 분야 석·박사 유학생의 중견·중소기업 취업을 지원하고, 영주·귀화 비자 취득까지의 절차도 간소화할 예정이다.

지역 대학들은 유학생 유치를 넘어 취업, 정착 등 다음 단계를 위한 지원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성호 계명대 국제처장은 "정부의 규제 완화를 환영하며 분명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유학생을 유치하는 데 그쳐서는 안된다"며 "대학들은 유학생들이 자신의 모국에서 생활하는 것처럼 교육과 연구,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쾌적한 제도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외국인 유학생들에게는 졸업 후 진로를 위해 취업 교육을 별도로 실시하는 등 재학생들과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선구 대구대 국제팀장은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정주 여건 개선 및 취업 지원을 위한 정부 대책은 지역 인구감소와 나아가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유학생 유치를 위한 세부적인 전략은 법무부는 물론 지자체와의 협력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유관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교육부가 공개한 지난해 '지역별 유학생 현황'에 따르면 국내 유학생(16만6천892명) 중 경북 유학생은 6천531명, 대구는 5천911명으로, 서울, 경기, 부산, 대전 등에 이어 17개 시·도 중 각각 7, 8번째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