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이과 통합형 수능…공통+선택과목 체제 유지
성적 통지일 12월 5일…한국사·영어·제2외국어/한문 절대평가
올해 고등학교 1학년이 치르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2025년 11월 13일 문·이과 통합형으로 실시된다.
교육부는 16일 2026학년도 수능 시행일과 영역별 문항 유형 등 수능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2026학년도 수능은 2022학년도에 도입된 현재의 문·이과 통합형 수능 체제를 유지한다. 영역별 문항 수와 시험시간, 성적표 기재 사항 등은 전년도 수능과 같다.
우선 국어·수학영역은 공통과목(출제비율 75%)과 선택과목(25%)을 함께 실시하는 현 수능 체제로 유지된다.
국어영역은 '독서', '문학'이 공통과목이며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한 과목을 선택해 응시하게 된다.
수학영역은 '수학Ⅰ', '수학Ⅱ'가 공통과목이며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한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영역 문항의 30%는 단답형으로 출제된다.
사회·과학탐구영역은 문·이과 구분 없이 17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을 골라 응시하면 된다.
직업탐구영역의 경우 1개 과목만 응시하는 수험생은 선택과목 5개 중 1개를 고르면 되고, 2개 과목에 응시하는 수험생은 선택과목 5개 중 1개와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치르면 된다.
한국사 영역 응시는 필수다.
한국사·영어·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성적표에 등급만 기재된다.
나머지 영역이나 과목은 상대평가로, 표준점수·백분위·등급이 모두 성적표에 기재된다.
부정 행위자의 시험 결과는 무효 처리되고, 다음 연도인 2027학년도 수능에도 응시할 수 없다.
다만, 종료령이 울린 후 계속해서 답안을 작성하는 행위 등 교육부 장관이 정한 경미한 부정 행위자의 경우 당해 시험만 무효 처리된다.
2026학년도 수능 성적 통지일은 12월 5일이다.
출제 원칙 등 수능 시행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025년 3월에 공고한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