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주 사이 4곳서 넘어져…모두 같은 업체에서 납품
쓰러진 차선분리대, 국감서 지적받았던 것과 동일 제품
업체 "결속력 강화된 안전한 기술"…내구연한 5년 초과
지난달 말부터 대구 도심에서 잇따라 쓰러진 차선분리대가 모두 같은 업체 제품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제품은 지난 2019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불량' 의혹을 받기도 했다.
10일 수성구청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신매시장 인근에 설치된 차선분리대 20m가량이 쓰러졌다. 지난 3일 파동행정복지센터 앞에서도 40m가량이 넘어졌다. 지난 7일에는 북구 침산네거리 근처 차선분리대가 200m, 중구 동부교회 앞에서도 10m가 각각 쓰러졌다.
조달청은 차선분리대 표준 규격 기능에 '상온에서 변형이 없어야 하고 직사광선, 강우, 강설 등 기후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해당 제품을 납품한 A업체는 대구, 제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차선분리대 등을 납품하고 있다.
A업체는 지난 2019년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규격을 지키지 않은 '불량 차선분리대'라는 지적을 받았다. 국토교통부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 따르면 무단횡단 금지시설(차선분리대) 횡방향 부재의 상단 높이는 노면으로부터 90cm를 표준으로 하며 차량 충돌에 부러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무단횡단 금지시설(차선분리대)의 재질은 시선유도봉 재질 기준에 따라 충분한 강도가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유지 관리가 용이한 것으로 해야한다고도 규정한다.
당시 기획재정위원회 유승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겉으로 보기엔 높이 90cm 같지만 실제로는 73cm 폴리우레탄 기둥에 저렴한 재질인 플라스틱 캡을 씌우는 꼼수를 썼다"며 "조달청이 손 놓고 있는 사이 국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A업체 관계자는 "국토부 지침에 지주 높이 관련 규정은 없다. 값싼 플라스틱이 아니라 2차 사고 방지하기 위한 특별 기술이 들어가 결속력이 강화된 안전한 기술이다. 국정감사 당시 조달청 조사에 성실히 임했고 당시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조달청에서 판매될 수 있는 것"이라며 "최근 차선분리대가 넘어진 것과도 전혀 무관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쓰러진 원인에 관해서는 "안전을 위해 복원성 좋은 폴리우레탄 함량을 높이다 보니 한편으로는 열에 취약해졌다. 폭염으로 강한 열에 오래 노출되다보니 강도가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에는 이상 기후에 대비한 새로운 제품을 출시했다"고 답했다.
쓰러짐 사고가 발생한 구청은 차선분리대 현장 점검을 진행 중이며 전수 조사를 통해 대구시에 노후 시설물 교체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근 대구에서 넘어진 차선분리대도 당시 국정감사에서 지적받았던 것과 같은 제품이다. 중구에서 쓰러진 제품은 국정감사에서 지적받았던 것과 동일한 제품이고, 수성구와 북구에서 쓰러진 것도 직전 출시 제품으로 재질과 규격에는 큰 차이가 없다.
각 구청에서는 '조달청 우수제품'이라며 품질 하자와는 선을 그었다. 제품이 노후한데다 폭염 등이 겹치며 쓰러졌다는 입장이다. A업체의 차선분리대는 2011년 조달청 품질우수제품으로 지정됐고, 2017년에도 특허 취득으로 다시 3년간 우수제품 선정됐다.
수성구청은 2015년~2016년 무렵 차선분리대를 교체했고, 북구청은 2017년쯤 인근 아파트가 다른 안전시설과 함께 설치했다. 중구청도 2018년 1월 신설했다. 모두 내구연한 5년을 넘겼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