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감정노동자로 인식한 비율은 99% 달해
교사 3명 중 2명이 가장 스트레스를 느끼는 대상으로 학생이나 교장이 아닌 학부모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를 감정노동자라고 인식한 비율은 99%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은 지난 25, 26일 전국 유·초·중·고 교원 3만2천9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권 침해 인식 및 대책 마련 교원 긴급 설문조사'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유·초·중·고 교사를 비롯해 교장과 교감도 참여했다.
교사들은 '가장 스트레스를 느끼는 주요 대상'으로 학부모(66.1%)를 꼽았다. '학생'이라고 응답한 교사는 전체의 25.3%로 뒤를 이었다. '교장, 교감'이라고 응답한 교원은 2.9%, '교육행정기관, 국회 등' 2.5%, '동료교사'라는 응답은 1.2%였다.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으로는 '생활지도'(46.5%)가 가장 컸다. '민원'(32.3%), '아동학대 신고 두려움'(14.6%)이 뒤를 이었다.
대부분의 교사는 자신을 감정노동자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생님은 감정근로자다'라고 인식하는 정도에 대해 '동의'하거나 '매우 동의'한다고 답한 교사는 전체 응답자의 99%에 달했다.
또 응답 교사의 93.4%는 '교육부가 마련 중인 생활지도 고시 내용에 교사가 구체적으로 학생 문제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자 "찬성한다"고 답했다.
이 외에 93.3%가 "아동학대 신고만으로 교사를 분리 조치, 직위해제 처분하는 절차가 개선돼야 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학생이나 경계성 장애학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냐는 질문에는 교사 54.5%가 '매우 많았다'고 답했고, 32.3%는 '많다'고 답해 현장의 어려움을 전했다.
한편 교총 2030청년위원회 소속 교사들은 이날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해 "우리는 더 이상 동료 교원을 잃고 싶지 않다"며 "실질적인 교권 회복 대책 마련과 교권 보호 입법에 정부와 국회가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