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 확산으로 급부상한 사용 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 규모가 2040년에는 25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 기관인 SNE리서치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데이 2023' 세미나를 열고 산업 동향 분석 및 시장 전망을 내놓았다. 세계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은 연평균 17% 성장률을 보여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 424억 달러, 2040년에는 2천89억 달러(약 252조7천60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폐차 발생량은 2040년까지 연평균 33%씩 증가가 예상된다. 전기차 폐차 발생량은 올해 17만대에서 2030년 411만대, 2040년 4천227만대로 급속히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사용 후 배터리 발생량은 올해 18GWh, 2030년 338GWh, 2040년 3천339GWh로 매년 급증이 예상된다.
사용 후 배터리는 분해하지 않고 재사용할 경우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재활용은 분해를 통해 니켈, 리튬 등 소재 추출이 가능하다. SNE리서치는 2040년에는 연간 600만t 이상의 금속을 재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재사용 금속의 부가가치는 2천89억 달러(약 263조원)에 달한다.
김대기 SNE리서치 부사장은 "환경오염과 처리비용, 편익을 고려해 세계적으로 사용 후 배터리 관련 제도가 제정되고 있는 추세다. 유럽은 배터리 전생애주기에 대해 규제하며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사용후 배터리는 수거, 진단, 분류를 거쳐 운반되며 물류 산업도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개최된 배터리 리사이클링 데이 2023 행사에는 포스코HY클린메탈, 성일하이텍, 영풍, 에너지머티리얼즈 등 국내 주요 기업이 참여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