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백지화 등 신뢰잃은 정부 정책…새 원전 논의 영덕에서는 쉽지 않을 듯
"원전 관련 정책은 이미 정부와 신뢰가 깨졌습니다. 최근 신규 원전과 영덕군을 연계하는 추측성 보도가 많이 나오는데, 군민들이 들으면 웃을 얘깁니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신규 원전 건설 계획 백지화로 지역에 큰 피해를 입힌 정부의 정책을 신뢰할 수 없다며 이번에도 원전과 영덕을 연결하는 것을 경계했다.
최근 산업부가 수립 중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2024~2038년)'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담길 것으로 보이자, 일각에서 신규 원전의 최적지로 영덕을 거론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용지를 물색하는 것보다 과거 추진하다 중단된 사업(영덕 천지 1,2호기)을 다시 진행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시각 탓에 이런 분석이 나오는 것이다.
이에 김 군수는 정부가 어떤 지역에서든 신규원전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신뢰회복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영덕군만 하더라도 원전건설 백지화로 정부에서 회수해 간 원전특별지원금 문제로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가 크게 추락한 상황이다. 앞서 정부는 영덕에 신규원전을 건설하는 대가로 2014~2015년 409억원(이자 29억원 포함)을 줬지만, 2017년 탈원전 선언과 함께 돈을 회수해 갔다. 이에 영덕군은 국책사업에 대한 신뢰, 지역 내 소모전과 희생 등 여러 사안이 고려되지 않았다며 정부와 법적 다툼을 벌이고 있다.
또 신규 원전 부지가 정해지고 지을 때까지 최소 10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데, 정권이 바뀌어 백지화가 되면 그 피해를 고스란히 지역이 진다는 점도 부담스럽다.
김 군수는 현재 영덕군과 신규원전을 연결하는 것은 허무맹랑한 추측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다.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새 원전 부지로 확보한 영덕군 땅을 팔고 있다는 점만 봐도 신규원전과 영덕을 이을 수 없다고 했다.
김 군수는 "분명한 건 원전 건설이 정부의 편의에 따라 짓고 말고 하는 사업이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 군만 봐도) 원전특별지원금을 줬다 회수하는 바람에 군 전체 예산이 압박받고 있지만 정부는 여전히 이에 대한 배려나 대책 마련은 없다.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회복 없이 과연 영덕에 새 원전 사업이 진행될 수 있을까 의문스럽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야고부-석민] 여론 조사? 여론 조작?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