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수입 규모 감소 원인…전기차 호조에 車 최대 실적
반도체 수출 전년비 28%↓

지난달 한국 무역수지가 16개월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수입 규모가 축소된 영향이 커 낙관적 전망을 내놓기 이르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2023년 6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6월 기준 무역수지는 11억3천만 달러 흑자를 시현했다. 월간 무역수지가 흑자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6개월 만이다.
월 무역 적자는 올 1월 125억4천만 달러로 정점을 찍었고 이후 ▷2월 53억3천만 달러 ▷3월 47억3천만 달러 ▷4월 27억 3천만 달러 ▷5월 21억2천만 달러로 점차 감소세를 보이다 이번에 흑자로 돌아섰다. 다만 상반기 누적 무역적자는 263억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달 수출액은 542억4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다. 그러나 작년 6월 수출이 역대 6월 기준 최고 실적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가 작용했다. 수출 감소율은 올해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품목별 수출을 보면 자동차(58.3%)·일반기계(8.1%)·선박(98.6%)·2차전지 (16.3%) 등은 증가세를 보였다. 상반기 자동차 수출액은 356억5천만 달러로 전기차 등 친환경차 판매 호조에 힘입어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2차전지·일반기계 역시 상반기 기준 수출액이 가장 많았다. 특히 2차전지의 경우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포함하면 반도체 등 5대 품목에 버금가는 규모로 성장했다고 산업부는 분석했다.
하지만 한국 전체 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반도체 업황의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 6월 반도체 수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2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주력 상품인 메모리 반도체수출은 38.8% 감소했다.
또한 이번 무역수지 흑자 시현은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6월 수입액은 원유(-28.6%), 가스(-0.3%), 석탄(-45.5%) 등 에너지(-27.3%) 수입 감소해 작년 동월보다 11.7% 감소했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무역수지는 소폭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에너지 수입 감소로 수입이 수출보다 더 크게 감소하면서 적자 폭은 지속적으로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정부는 이번 무역흑자 흐름을 이어나가기 위해 수출 확대 및 에너지 절약확산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번 무역흑자는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반도체 업황 부진, 불확실한 통상환경 등 악재 속에서도 민관이 한 마음 한 뜻으로 수출개선을 위해 노력한 결과"라며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원대책과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이행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