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전 3시쯤 달서구 아파트서 화재…최초 발화원은 위니아 딤채 김치냉장고 추정
주민 50여 명 새벽에 대피 소동…14명은 연기 흡입으로 병원 이송
화재 위험성으로 리콜 결정이 내려진 구형 김치냉장고에서 또 불이 났다. 새벽 시간에 난 불로 아파트 1개 동 주민이 전부 대피하고 일부가 연기를 마셔 병원으로 옮겨졌다.
대구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22일 오전 3시 4분쯤 달서구 감삼동의 한 아파트 3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불은 출동한 소방당국에 의해 약 40분 만에 진화됐다.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는 지난 2003년 지어진 곳으로 22층짜리 규모, 44세대가 거주 중인 곳이다. 이 불로 주민 58명이 새벽에 자력으로 대피하거나 구조됐으며, 이 중 14명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오전 11시쯤 방문한 아파트는 건물 입구부터 매캐한 냄새가 진동했다. 특히 화재가 발생한 집은 대문과 창문이 모두 열린 채로 화마가 휩쓸고 간 흔적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세대주의 어머니인 윤모(74) 씨 사고 소식을 듣고 헐레벌떡 아들 집으로 달려왔다.
그는 "불행 중 다행으로 자고 있던 중학생 손자가 열기를 느끼고 잠에서 깨 대처를 했다고 한다"면서 "아들네 식구가 모두 병원에 입원했다.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울먹였다.
소방당국과 경찰은 베란다에 있던 위니아의 딤채 김치냉장고를 최초 발화원으로 보고 있다. 위니아 딤채 김치냉장고가 화재를 부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 제품 관련 화재 건수는 전국적으로 2020년 21건, 2021년 198건, 2022년 163건이 발생했다. 제조사 측은 화재 위험을 이유로 2005년 9월 이전에 제조된 구형 딤채 김치냉장고에 대한 리콜을 결정했다.
그러나 해당 모델은 노후 폐기분을 감안해도 지금도 4만대가 넘게 사용 중인 걸로 추정된다. 이번에 불이 난 제품 역시 20여 년 전에 구입한 구형 모델로 알려졌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대구과학수사연구소가 지난 2014년 김치냉장고 폭발 원인을 감식한 결과 냉장고의 냉매 압축기에 전원을 연결하는 릴레이 장치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해당 김치냉장고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분석을 의뢰할 방침이다. 조영진 대구과학수사연구소 이공학과장은 "대전시와 부산시, 제주시 등은 지자체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위험성을 알리고 있다"며 "큰불을 막기 위해 가정 내에서 자체적으로 리콜 대상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