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설명회, 경북은 29일

입력 2023-06-12 17:36:35 수정 2023-06-12 21:45:18

해수부, 13일부터 전국 순회 소통…수산물 검사장비 20대 추가 계획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이 12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전의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수산물 안전관리 소통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이 12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전의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수산물 안전관리 소통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국내 수산물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대국민 소통을 강화하고 수산물 검사장비를 확충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2일 이 같은 내용의 '수산물 안전관리 소통 계획'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수산물안전관리과 중심으로 운영되던 기존 체계를 '국민 안심 상황관리반'으로 확대개편하고 수산물에 대한 관리·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국민 안심 상황관리반은 수산정책실장을 중심으로 수산물 안전 관리·안전 소비·국민소통 등 7개 팀을 구성해 활동할 계획이다. 전문가 그룹과 수산업계, 지자체 등과 협력 대응 체계도 마련한다.

수산업계를 대상으로 수산물 안전 설명회도 개최한다. 이달 13일 부산을 시작으로 ▷14일 경남 ▷16일 서울·인천 ▷20일 경기 ▷ 21일 강원 ▷23일 전남 ▷27일 충청·전북 ▷28일 제주 ▷29일 경북 등 3주가량 전국을 순회하며 현장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내년까지 수산물 검사장비도 확충한다. 현재 총 29개인 수산물 검사장비를 올해 안으로 추가로 9대를 확보하고 내년에는 11대를 추가할 방침이다.

수산물 안전 관리 정책 참여 채널 운영도 지속한다. 현재 운영 중인 '수산물안전 국민소통단'과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방사능검사 정보를 메일로 받을 수 있는 '메일링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운영해 국민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올해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지난해 목표인 4천 건보다 2배 이상 확대한 8천 건을 목표로 시행한다.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총 3만 건 이상의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으나 단 한 번도 부적합 수산물이 발생하지 않았다고도 강조했다.

다만 수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손실보상금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송상근 해수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아직 피해 등에 대해 예정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손실보상금을 논의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했다.

한편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오후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와 관련해 "과학에 근거를 두지 않은 허위사실 유포는 수산업 종사자들을 힘들게 만들 것"이라며 "그런 내용으로 이해 당사자들에게 피해를 준다면 선동이라고 비난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왜 일본 눈치만 보느냐는 불만이 있다'는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적에 "과학에 기초하지 않고, 안전하지 않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찬성할 수가 없다"며 "대한민국은 한 번도, IAEA(국제원자력기구)가 좋다고 하면 그건 안전한 것이니 무조건 받는다고 얘기한 적이 없다"고 했다.

'안전이 검증되면 오염수를 마시겠느냐'는 질의에는 "세계보건기구(WHO) 음용 기준은 1만 베크렐(㏃)이고 그 기준에 맞는다면 마실 수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