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간 뚫리지 않는 문경의 혈(단산터널)을 뚫어 주세요”

입력 2023-06-11 16:00:43 수정 2023-06-11 21:32:32

2008년 사업승인에 2016년 197억 들여 진입도로 완공했지만 정작 터널개통은 국비지원 안돼 답보
신현국 문경시장 문경시의회 등 지역 정치권 공개 국비지원 나서…임이자 국회의원 26일 추경호 부총리겸 기재부 장관 만나 담판

지난 9일 기자가 찾은 경북 문경시 문경읍 당포리 단산 터널 예정지 진입도로 종점 앞. 진입도로는 7년 전 완성 됐지만 정작 터널이 뚫리지 않고 있어 마치 휴전선 앞 중단된 철로를 연상케 하고 있다. 고도현 기자
지난 9일 기자가 찾은 경북 문경시 문경읍 당포리 단산 터널 예정지 진입도로 종점 앞. 진입도로는 7년 전 완성 됐지만 정작 터널이 뚫리지 않고 있어 마치 휴전선 앞 중단된 철로를 연상케 하고 있다. 고도현 기자

경북 문경시 문경읍 당포리와 산북면 석봉리를 가로막는 단산(해발 956m)을 뚫는 터널공사가 15년째 이뤄지지 않으면서 주민 불편, 관광명소 접근성 저하, 물류비용 부담 등이 커지고 있다.

11일 문경시에 따르면 단산터널 공사는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에 근거해 확정했다. 이 일대는 예천 공군16전투비행단 소음피해에 시달리는 지역이기도 해 주민 복리 증진을 위한다는 정부의 배려도 있었다.

정부는 2008년 단산터널(직선거리 1.98㎞) 개통 시 당포리에서 석봉리를 가기 위해 우회(50㎞)하는 불편 등이 없어질 것으로 보고 사업을 승인했다.

2011년 실시설계가 완료됐고 2016년에는 196억원(국비·도비·시비)이 투입돼 터널 양방향 왕복 2차로 진입로(각 1.7㎞)도 준공했다.

터널 공사가 가시화하면서 주민들은 50분 거리가 3분 거리로 줄어들게 되고 지역민들도 경제, 관광 등에 보탬이 될 것이라며 기대했다.

하지만 이후 기획재정부 등 정부는 예산부족을 이유로 본사업인 터널 공사 지원을 끊었다. 매년 터널공사 사업이 후순위로 밀리며 국비 지원을 받지 못했고 진입로 완공 후 7년이 지났지만 터널을 뚫는 공사는 시작도 못한 채 멈췄다. 터널공사는 400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문경 단산터널 요도
문경 단산터널 요도

11일 기자가 찾은 터널예정지는 잘 닦인 도로 위 자동차가 한 대도 지나지 않았다. 도로는 산에 막혀 더는 이어지지 않았고, 가는 길에는 도로 종점을 알리는 안내판이 있기도 했다.

이 터널은 당포리와 석봉리, 더 나아가 문경읍과 산북면을 쉽게 오가게 하는 '징검다리'로의 역할에 더해 주변지역을 활성화할 중요한 기능도 갖췄다.

단산 인근에는 문경새재와 문경골프장, 중부내륙고속도로 문경새재 IC를 비롯해서 인기 관광시설인 모노레일, 전국 최고의 패러글라이딩 명소인 단산 활공장 등이 있다.

산북에도 신라고찰인 대승사와 김용사 경천댐 등 관광명소가 즐비하다. 하지만 이 같은 불편한 접근성 때문에 문경 관광벨트 구축 등 관광활성화 차질과 농산물 등 물류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

단산활공장을 비행한 패러글라이딩이 실수로 산북 쪽 경계에 착륙하면 다시 이륙장으로 돌아오는데 승용차로 50분이 걸린다는 이야기다.

문경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부처를 여러 차례 방문, 실정을 호소했지만 예산 반영을 이끌지 못했다.

황재용 문경시의회의장을 비롯한 전체 문경시의원 10명은 지난 8일
황재용 문경시의회의장을 비롯한 전체 문경시의원 10명은 지난 8일 '단산터널 개설공사를 위한 조속한 국비지원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문경시의회 제공

이에 문경시, 문경시의회, 지역구 국회의원인 임이자 의원 등은 최근 정부에 신속한 국비지원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황재용 문경시의회의장을 비롯한 전체 문경시의원 10명은 지난 8일 '단산터널 개설공사를 위한 조속한 국비지원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시의원들은 "정부가 사업 완수에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은 낙후된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의 균형 있는 발전과 주민 복리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특별법 취지를 위배하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신현국 문경시장은 "단산터널을 뚫는 것은 문경의 막혀 있는 혈을 뚫는 것이다"며 "문경관광을 활성화시키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매우 중요한 사안인 만큼 정부를 설득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이자 국회의원은 "정부가 사업을 승인해 놓고 너무 오랫동안 지연 시키고 있다"며 "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과의 면담에 이어 오는 26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만나 담판을 지을 예정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