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대표 회동, 공개 토론"- 여 "비공개로 하자"

입력 2023-06-07 21:37:26

이재명 "만인 보는 가운데 진행" 김기현 "긴밀한 대화하는 자리"
정치권 "내용보다 형식에 집착"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오른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8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오른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8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미뤄 온 대표간 회동을 어떻게 진행할 지를 두고 설전을 이어가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공개 토론 형식의 만남을 원하고 있는 반면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비공개 현안 논의에 무게를 두고 있다.

정치권에선 여야가 '샅바싸움'에 골몰하고 있는 점을 들어 여야 대표회담이 물 건너 간 것이 아니냐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 대표가 먼저 선제공격을 날렸다. 이 대표는 7일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 종료 전 별도 발언을 통해 "자꾸 (회동) 형식을 가지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 문제를 갖고 지금 몇 주가 지나고 있다"며 "당장 오늘 오후도 좋다. 국회 로텐더홀에 의자와 책상 하나만 놓고 만인이 보는 가운데서 허심탄회하게 대화하자"고 제안했다.

특히 이 대표는 "이게 무슨 선거 국면의 후보들 간 토론회도 아니고 굳이 형식과 절차를 갖춰서 자꾸 미룰 필요가 없다"면서 "시간이 되는 대로 아무 데서나 하자. 국민의힘 회의실도, 이 회의실(민주당 당 대표실)도 괜찮다. 아니면 국회에 다른 회의실도 많지 않으냐"고 강조했다.

이에 김 대표는 '말싸움을 하자고 만나자는 것이 아니다'고 맞섰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확대당직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자꾸 대화는 안 하고 논쟁만 하자고 하니까 답답한 노릇"이라며 "대화는 논쟁하는 자리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국정 현안을 아주 긴밀하게 이야기 나누는 그런 협상의 자리가 대화의 자리인 것이지, 토론하는 자리가 협상하거나 대화하는 자리가 아니다. 토론은 하는데, 여야 사이에 국정 현안을 협의하기 위한 별도 자리가 필요하다고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정치권에선 여야가 '내용'보다는 '형식'에 집착하고 있는 상황인데 사실상 회담이 물 건너 간 것이 아니냐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여야 대표 회담이 성사되면 수혜자는 원내 제1당 대표이자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와 마주 앉게 되는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될 것"이라며 "대표회담 결과를 책임져야 하는 용산 대통령실과 여당 사이 조율이 여의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