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사고, 여행 떠나고' 고소득층 소비 늘어…코로나19 이전 96.7% 회복

입력 2023-05-28 11:03:32

통계청, 2023년 1분기 가계동향 조사…5분위 평균소비성향 57.8%

서울 시내 대형 쇼핑몰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 대형 쇼핑몰 모습. 연합뉴스

코로나19 대응 조치가 사실상 해제되면서 올해 1분기 소득 상위 20%(5분위) 고소득층의 소비 성향이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외식, 여행 등 외부 활동이 늘어나면서 내수 증가세를 견인하고 있다.

28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 5분위 계층의 평균소비성향은 57.8%를 기록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가계에서 소비할 수 있는 자금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을 %로 나타내는 지표다.

소비성향이 높다는 것은 지출이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올해 1분기 5분위 소비성향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1분기 기준 가장 높았다. 연도별로는 2020년 55.0%, 2021년 56.5%, 2022년 51.4%로 나타났다.

다만, 올해 1분기 평균소비성향은 2019년 1분기(59.8%) 대비 96.7%로 다소 낮은 수준이다. 즉,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평균소비성향(70.7%)도 코로나19 사태 이후 1분기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으로 회복했으나, 2019년 1분기(75.8%) 대비 93.3% 회복한 수준에 그쳤다.

고소득층의 소비력은 소비자 물가가 4.7% 상승한 것에 비해 상당한 성장세를 보였다.

물가 영향을 제외한 5분위 계층의 1분기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12.4%였다. 이는 전체가구 평균 6.4%보다 2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1~5분위 가운데 가장 높다.

고소득층은 고물가에도 다양한 여가 생활을 즐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중 교통 분야 실질 지출이 77.7% 늘렸다. 자동차 구입이 184.1%나 늘어났다. 또 항공기와 여객선 등이 포함된 기타 운송이 119.4%, 철도운송비용이 98.3% 늘었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되면서 이동량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단체 여행비가 713.5% 급증했다. 이밖에 오락·문화 지출(27.6%), 음식·숙박 지출(10.7%)도 늘었다. 이 가운데, 숙박 부분 지출은 21.1%로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