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부동산 임대소득자는 120만여명…"부동산 보유에 따른 소득양극화 심각"
부동산 상위 0.1%에 속하는 1천209명이 1년에 벌어들이는 임대소득이 8억을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실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종합소득세 신고자 가운데 부동산 임대소득자는 120만9861명이었다.
이는 2019년 109만3550명, 2020년 113만7534명 등으로 매년 올라가는 추세다.
전체 임대소득 역시 2019년 20조725억원, 2020년 20조9516억원에서 2021년 21조4971억원으로으로 증가했다.
2021년 부동산 임대소득자의 연평균 임대소득은 1777만원으로 같은 기간 전체 근로자의 연평균 근로소득인 4024만원의 44.2% 수준이다.
특히 임대소득자 중에서 상위 0.1%에 해당하는 1209명의 신고 소득은 총 9852억원으로, 1인당 평균 8억 1500만원이다.
다만, 최상위권의 평균 임대소득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2017년 10억1천900만원에서 2018년 9억7천400만원, 2019년 9억2천700만원, 2020년 8억6천만원으로 지속해서 줄었다.
상위 1%의 평균 소득은 2억7576만원, 상위 10%의 평균 소득은 8342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임대소득 신고자 중 상위 49~50%에 있는 1만2099명의 소득은 1116억원으로 드러났다. 임대소득자의 중간 지점에 있는 1인이 평균 922만원을 번 셈이다.
양경숙 의원은 "부동산 보유에 의한 소득양극화 현상이 여전히 심각한 상황이다"며 "보유세 등 부동산 세제에 대한 검토를 비롯해 조세 정의를 실현해 나가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실제로 코로나19 대유행에서 벗어나면서 경제가 회복되고 있지만, 소득 만족도의 양극화는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사업·금융·임대소득)을 합친 통합소득 상위 0.1%의 연평균 소득은 18억4970만원이었다. 이는 전체 가구를 소득 수준으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중위소득자 연평균 2660만원의 7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상위 1%의 연평균 통합소득은 4억7000만원으로 중위소득자의 17.7배였으며, 상위 10%의 연평균도 중위소득자의 5.5배인 1억4640만원으로 조사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