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등 9개 시도, 유치원·어린이집 격차 줄이기 본격 나서

입력 2023-05-15 14:23:25

15일 교육부 '2023년 유보통합 선도교육청' 선정 결과 발표
유치원·어린이집 격차 완화 위해 급식비 지원·공동교육과정 등 추진
교육부·교육청·지자체 총 496억원 투입

코로나19 사태 이후 3년 만에 실내 마스크 착용이 자율화 된 지난 1월 30일 경북 안동지역의 한 어린이집에서는 여전히 원생들의 안전을 위해 마스크를 착용한 채 수업을 하고 있다. 기사 내용과는 상관없는 이미지. 독자 제공
코로나19 사태 이후 3년 만에 실내 마스크 착용이 자율화 된 지난 1월 30일 경북 안동지역의 한 어린이집에서는 여전히 원생들의 안전을 위해 마스크를 착용한 채 수업을 하고 있다. 기사 내용과는 상관없는 이미지. 독자 제공

대구경북 등 9개 시도가 올해 하반기부터 어린이집 급식비를 추가로 지원하고, 유치원·어린이집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등 두 기관 간 격차 줄이기에 나선다.

교육부는 대구와 경북을 비롯한 서울·인천·세종·경기·충북·전북·경남 등 총 9개 교육청을 '2023년 유보통합 선도교육청'으로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앞서 정부는 유치원·어린이집으로 나뉜 유아교육 및 보육 시스템을 하나로 합치는 '유보통합'을 2025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기관 간 교육·돌봄 격차를 줄이고자 선도교육청 운영을 통해 각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한 바 있다.

이번에 선정된 9개 시도교육청은 자체 준비위원회, 자문단 및 시도 지지체와 협의체 등을 구성해 운영하고, 어린이집 급식비 지원, 유치원·어린이집 공동 교육과정 운영 등 13개 과제에 총 482억원(교육청 424억원, 지자체 58억원)을 투입한다. 여기에 교육부는 14억원을 지원한다.

교육부 제공
교육부 제공

대구시교육청의 경우 13개 과제 중 5개 과제를 맡아 서울(9개) 다음으로 많은 과제를 시행하게 된다.

우선, 유치원과 어린이집 두 기관 간 지원 격차 완화 차원에서 유아학비를 추가 지원한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사립유치원은 정부의 누리과정(만 3∼5세 교육과정) 지원금 외에 학부모가 평균 13만5천원을 더 부담하고 있으나 어린이집의 경우 보육료 추가 부담이 없다.

대구시교육청은 올해 하반기부터 지역 사립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3~5세 아동 2만5천여 명을 대상으로 유아 1명당 5만원의 유아학비를 지원해 학부모 부담을 줄임으로써 어린이집과의 원비 격차를 좁혀나갈 계획이다.

또한, 양질의 교육·돌봄 서비스 제공과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해 거점형 방과후 과정의 경우 중심유치원 1곳이 협력유치원 2, 3곳과 연계해 방과후 과정을 함께 운영한다.

아울러 어린이집 만 5세 유아의 초등학교 입학 전 적응 프로그램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교사 맞춤형 연수, 장학 컨설팅 지원단을 운영해 교사 역량 강화 지원에도 나선다.

만 3~5세 유아 발달에 적합한 교육, 안전, 문화예술 등 유아 체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장애 영유아 조기 진단비 지원 역시 확대한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예산 관련 세부 내용은 아직 추경을 진행하기 전이라 확정해 밝히기는 어렵다"며 "2025년 유보통합이 이뤄져 사립유치원 무상교육이 현실화될 때까지 시교육청 차원에서도 학부모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두 기관 간 원비 격차를 줄여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번에 1개 과제를 시행하는 경북도교육청은 방과후과정 운영비를 지원해 프로그램을 다양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유보통합이 완전히 이뤄지기 전이라도 선도교육청을 통해 교육·돌봄의 질이 높아지고,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