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 23∼24일 파견… 日과 세부조율

입력 2023-05-08 16:55:29

한일 국장급협의 주 후반 개최…시찰단 규모·세부일정 등 논의
野 "후쿠시마, 시찰 말고 검증해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일 정상 소인수 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일 정상 소인수 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전문가 시찰단을 23∼24일 파견한다.

한일 정상이 전날 열린 회담에서 한국 전문가의 현장 시찰에 합의한데 따른 것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8일 "가까운 시일 내에 한일 국장급 협의를 개최해 5월 23∼24일 시찰단 파견 구체 내용을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주 후반 열릴 것으로 알려진 국장급 협의에서는 시찰단 규모와 세부 일정 등이 조율될 것으로 보인다.

시찰단 세부 일정으로는 경제산업성 및 도쿄전력 관계자 면담,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는 시설인 해저터널 시찰 등이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찰단은 관련 부처 관계자와 산하기관 전문가로 구성될 예정이다.

전문가 중심으로 정부 관계자는 지원 업무를 위해 실무급으로 꾸려질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양측은 시찰단 규모와 세부 일정 등을 협의하면서 지난해 3월 후쿠시마를 찾은 대만 조사단 사례도 참고할 것으로 보인다.

대만은 지난해 3월 23∼27일 후쿠시마에 원자력위원회 전문가 등 8명으로 이뤄진 조사단을 파견했었다.

대만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회원국이 아니라 IAEA 다국적 조사단에 참가하지 못하자 일본 동의를 얻어 독자적인 조사단을 꾸렸다.

앞서 도쿄전력은 지난달 25일 약 1천30m 길이의 해저터널 굴착을 완료했다. 일본은 올 여름부터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정화한 후 이 터널을 이용해 원전에서 1㎞ 떨어진 바다에 방류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방류 철회'가 아니라 한국 전문가 시찰단 현장 파견에 합의했다며 비판을 쏟아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를 검증단도 아닌 양국 시찰단으로 봉합했다"며 "시찰단이 면죄부를 주는 들러리로 전락해 병풍 놀음만 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서영교 최고위원도 "검증하고 조사해야 하는데 시찰단이라니 오염수 방류에 대해 면죄부를 주는 건 아닌지 국민이 통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