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경주서 '천마총 발굴 50년' 비전 선포

입력 2023-05-02 15:10:49

4일 대릉원 일원…지난 50년 발굴 성과 이어간다는 의미 담아

1973년 천마도 출토 당시 모습. 문화재청 제공
1973년 천마도 출토 당시 모습. 문화재청 제공

올해 발굴 50년을 맞은 경주 천마총의 의미를 되새기는 행사가 경주서 열린다.

문화재청은 오는 4일 오후 1시 30분 경주 대릉원 일대에서 천마총 발굴 50년의 성과와 발전을 되돌아보고 미래 100년을 다짐하는 '1973, 천마를 깨우다' 비전 선포식을 연다고 2일 밝혔다.

천마총은 5세기 후반 혹은 6세기 초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왕릉급 무덤이다. 국가 주도로 이뤄진 첫 발굴 사례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1973년 4월부터 12월까지 약 8개월간 이뤄진 발굴조사에서 국보‧보물 10건을 포함해 1만1천여 점의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특히, 자작나무 껍질에 그린 천마도 장니(障泥, 말 탄 사람의 옷에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양쪽에 늘어뜨려 놓는 부속품) 발굴은 한국 고고학계의 큰 사건이었다. 기존 '155호분'으로 불리던 고분이 '천마총'이란 이름을 갖게 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비전 선포식 주제는 '다시 보는 천마총 50, 신라-웨이브 어게인'이다. 천마총 발굴을 계기로 지난 50년간 이뤄진 ▷한국 고고학의 성장 ▷발굴 및 보존 처리 방법의 고도화 ▷유적 복원·정비 역량 강화 등 성과를 이어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앞으로 100년은 신라 문화유산이 K-헤리티지(유산)의 중심에서 세계인이 찾고 주목하는 더 큰 '신라류'(Silla-Wave)의 파동을 일으키겠다는 힘찬 포부를 담았다"고 말했다.

행사엔 1973년 당시 천마총 발굴 주역을 비롯해 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원‧경북도‧경주시‧국립경주박물관 등 5개 기관장과 문화재위원장 등이 참석한다. 하늘을 날아가는 듯한 '천마'의 역동적인 모습을 춤으로 표현한 홍보 영상도 공개된다.

행사가 열리는 4일부터는 천마총의 대표 유물인 '천마도'(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국보 207호)도 만날 수 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천마, 다시 만나다' 특별전을 통해 천마도 실물을 약 9년 만에 공개할 예정이다.

같은 날 오후 7시 30분 경주 대릉원에선 화려한 빛과 영상으로 꾸미는 '2023 경주 대릉원 미디어 아트'가 펼쳐진다. 행사는 다음 달 4일까지 한 달간 이어진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