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군수 다부동전투 흙 담은 ‘동양란’ 부총리에 전달한 까닭은?

입력 2023-04-27 10:57:24 수정 2023-04-27 18:31:43

다부동전투 교과서 수록 건의, ‘다부동대첩’으로 명칭 변경도 추진

김재욱(사진 왼쪽) 칠곡군수가 칠곡군 다부동전투 현장의 흙이 담긴
김재욱(사진 왼쪽) 칠곡군수가 칠곡군 다부동전투 현장의 흙이 담긴 '동양란'을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게 전달하고 있다. 칠곡군 제공

호국의 성지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투' 상흔(傷痕)의 흙이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게 26일 전달됐다.

이날 김재욱 칠곡군수는 6·25 전쟁 당시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대한민국을 구한 다부동전투의 위상 정립을 위한 명칭 변경과 역사 교과서 수록을 건의하기 위해 다부동전투 현장의 흙이 담긴 동양란을 전달한 것이다.

김 군수는 6·25 전쟁 당시 최초의 한미 연합작전이자 3대 전승의 하나인 '다부동전투'를 '다부동대첩'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수록을 건의했다.

다부동전투는 낙동강 방어선 가운데 가장 전략적인 요충지로 칠곡군 왜관읍과 가산면 다부리 일대에서 국군 제1사단과 북한군 제1·3·15·13사단이 격돌한 국가 존망의 결정적 전투였다.

또 한미 동맹의 초석을 마련한 것은 물론 수많은 학도병과 지게로 탄약을 운반한 주민들의 나랑 사랑 정신이 깃든 전투로 역사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김 군수는 "자라나는 미래 세대에게 평화와 통일만큼 호국과 나라 사랑의 정신을 심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대한민국은 다부동전투의 승리로 지켜낼 수 있었기에 반드시 역사 교과서에 수록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부동전투는 단순한 전투의 의미를 넘어서는 구국의 전승"이라며 "다부동전투가 가지는 의미의 올바른 전달을 위해 '다부동전투'를 '다부동대첩'으로 변경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주호 부총리는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소중함과 올바른 국가관 형성을 위해 교과서 수록을 검토할 계획"이라며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