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해수부 R&D 공모 선정…포항·울진 걸쳐 2028년까지 540억원 투입
해양그리드 데이터도 수집
경북 동해안에서 해양 무인시스템 성능을 시험평가하는 체계와 해양환경·생태 관련 정확한 데이터를 실시간에 가깝게 수집·활용할 기반이 마련된다.
경상북도는 해양수산부가 지난 2월 실시한 '연구개발(R&D) 사업공모'에서 포항과 울진 2개 지역에 걸친 총 540억원 규모 사업이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선정된 사업은 '해양 무인시스템 실증 시험평가 기술 개발', '고품질 준실시간 해양그리드 데이터 서비스 체계 개발' 등 2개다.
포항과 울진 해역에 걸쳐 사업을 벌이는 것으로, 포항에서 2027년까지 5년 간 240억원 규모 연구개발을, 울진에서 2028년까지 6년 간 300억원 규모 연구개발을 수행한다.
'해양 무인시스템 실증 시험평가 기술 개발'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해양 무인시스템의 시장진입 가능성을 살피고자 제3자 성능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활용한다.
해양 무인시스템이란 첨단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해 연안·수중감시 및 탐색, 해양 환경 조사, 수중 로봇을 통한 해양 설비 조성 등 안보와 건축에 활용하는 체계를 이른다.

연구개발 계획에 따라 ▷해양 무인시스템 시험평가 체계 기술 개발 ▷해양 무인시스템 객관적 시험평가 테스트베드 구축 ▷해양 무인시스템 시험평가 오픈랩 구축 등을 수행한다.
사업 결과로 민간과 해군·해경이 해양 무인시스템 시험평가 체계와 테스트베드를 공동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해양장비 관련 신사업과 일자리 확보, 시장 경쟁력 강화, 해양장비 관련 글로벌 표준화 대응 등 효과가 기대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포항 해양로봇센터)이 주관해 연구개발을 총괄하고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원이 공동 수행한다. 휴비즈, LIG넥스원 등 산업계와 제주대·동명대 등 5개 대학도 동참한다.

'고품질 준실시간 해양그리드 데이터 서비스 체계 개발'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무인 기기로 적조와 냉수대, 너울(고파랑), 해양영토 등 환경과 어족자원 생태 데이터를 실시간에 가깝게 수집한 뒤 활용하는 사업이다.
그간 선박에 사람이 탄 채 해양정보를 수집할 때는 2개월마다 20~30㎞ 간격으로 데이터를 모았으나 이를 도입하면 정확한 데이터를 더 자주, 많이 수집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개발 내용은 ▷선박-수중글라이더 선단 활용을 통해 3차원 해양정보 관측기술 개발 ▷3차원 해양정보를 바탕으로 AI기반 지능형 해양수중 데이터 격자화 ▷전체 해역 모델데이터 확보 ▷해양그리드 데이터센터 구축 ▷해양관측 시설·장비 구축 등이다.
경북대학교가 주관하며 부경대학교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이 함께 한다.
실시간 해양정보를 제공해 국민 삶의 질과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해양자료의 검·보정 및 국제기준의 표준화도 이끌 것으로 경북도는 내다봤다.
이달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국내 최초로 해수면과 해저면에서 다양한 해양장비를 실증하고 해양데이터센터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경북을 해양신산업 중심지로 키워 고부가가치 해양기업 창업 및 유치, 일자리 창출 등 성과를 내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