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 이상 "한국 핵무장 찬성, 한미정상회담서 논의해야"

입력 2023-04-23 17:33:13

국민 절반 이상이 한국의 핵무장에 찬성하고, 다가오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민 절반 이상이 한국의 핵무장에 찬성하고, 다가오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이차전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전략 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 절반 이상이 한국의 핵무장에 찬성하고, 다가오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0~21일 양일간 전국 성인 남녀 1천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의 자체 핵무기 보유에 찬성하는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56.5%(매우 찬성 29.8%, 찬성하는 편 26.7%)로 나타났다.

반대 입장을 밝힌 응답자는 40.8%(매우반대 24.0%, 반대하는 편 16.7%)였고, '잘 모름'은 2.7%였다.

핵 보유에 찬성하는 이유로는 '북핵 위협 맞대응을 위해'라는 응답이 45.2%로 가장 많았다. 이 외에 '남북한 핵 보유 균형이 국익에 도움'(23.3%), '한반도 유사시 미국 지원 신뢰 부족'(17.0%), '국제 정세상 미국의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 신뢰 부족'(10.6%) 등이 뒤를 이었다.

반대 이유로는 '핵 금지조약 가입국으로 국제사회 제재 피해'가 44.2%로 가장 많았다. 또 '주변국 핵무장을 부추길 우려'(29.4%), '북한과의 관계 추가 악화 우려'(18.3%), '미국의 적극적인 지원에 대한 신뢰'(3.3%) 등이었다.

응답자 절반 이상은 오는 26일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핵무기 보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한 핵 위협과 남한의 핵무기 보유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이 55.5%(매우찬성 30.9%, 찬성하는 편 24.6%), 반대는 39.1%(매우 반대 26.4%, 반대하는 편 12.7%)로 각각 집계됐다.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들은 '가능성 있다'(57.8%), '가능성 없다'(40.7%)고 답했다.

이번 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조사는 무선 90%·유선 10%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2.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