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아웃렛 유치, 경산시 속 타는데 산자부는 '느릿느릿'

입력 2023-04-23 17:22:16 수정 2023-04-24 09:31:48

시, 용지변경 따른 '특혜 논란' 해소책 전달…안건 상정조차 안돼

경산지식산업지구 조감도.
경산지식산업지구 조감도.

경북 경산시가 경산지식산업지구 내 대규모 아웃렛 유치에 나섰으나 최종 승인권자인 산업통상자원부의 처리 지연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특혜 논란'이 불거지며 2020년 추진했던 아웃렛 유치가 무산된 이후 경산시는 사업 재추진을 위해 절차를 밟고 있으나 이를 심의·의결하는 산자부 산하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안건에 상정조차 되지 못하고 있다.

23일 경산시에 따르면 시는 경산지식산업지구(전체 면적 380만9천여㎡)의 2단계 개발구역 내 15만4천여㎡에 대규모 프리미엄 아웃렛 유치를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시는 유치 시 2천명의 고용창출 효과, 연간 500만명의 방문으로 지역 브랜드 상승, 지역 경제 및 관광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런 필요성에 따라 시는 지난해 12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을 통해 지구 내 2단계 개발구역의 '산업시설용지' 일부인 15만4천여㎡를 '유통상업시설용지'로 변경해 달라는 제19차 개발계획 변경안을 산자부에 제출했다.

아웃렛 유치 염원을 담은 시민 17만여명 서명도 산자부에 보내고 조현일 시장은 수차례 국회와 산자부 등을 방문해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산자부는 지난 2월 대경경자청에 특혜 해소 대책 등 각종 보완자료 제출을 요청했다. 경산지식산업지구가 애초 기계부품·첨단의료기기 및 메디컬 신소재 특화단지로 육성하기 위해 지구개발계획이 수립된 곳인 만큼 개발계획 변경은 특혜논란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경경자청은 ▷아웃렛 부지 분양의 공개경쟁 입찰 ▷전매금지 등 시세차익 최소화 통제수단 마련 ▷개발이익의 공적 환원 등 대책을 마련해 지난 3월 산자부에 제출했다.

시 등에 따르면 23일 현재 개발계획 변경안은 이를 심의·의결하는 경제자유구역위원회에 아직 상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시 관계자는 "개발계획 변경안 처리가 늦어지면서 지구 개발사업에 따른 대출금(1천850억원)의 경산시 채무보증 및 부담 기간을 연장해야 하고, 이로 인해 이 지구 내 다른 용지 분양 등에도 부정적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다"며 빠른 처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경산시는 2020년 9월 대경경자청과 경산지식산업지구 내 1단계 외국인투자 '유보지역' 17만7천000㎡ 부지에 2023년 개장을 목표로 프리미엄 아웃렛을 조성키로 하는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으나 산자부가 용지 조성 목적 및 시세보다 낮은 부지 제공은 특혜라는 입장을 밝혀 아웃렛 유치가 무산된 바 있다.

조현일(가운데) 경산시장과 윤두현 국회의원, 박순득 경산시의회 의장, 이인선 국회의원이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산지식산업지구내 아웃렛 유치 염원을 담은 서명부를 전달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조현일(가운데) 경산시장과 윤두현 국회의원, 박순득 경산시의회 의장, 이인선 국회의원이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산지식산업지구내 아웃렛 유치 염원을 담은 서명부를 전달하고 있다. 매일신문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