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청소년수련관· 육아종합지원센터 건립 지연,사업비 증가 등 산 넘어 산

김진만 경북부 기자
경북 경산시가 최근 시정조정위원회를 통해 폐교된 옛 대구미래대 부지 내의 청소년수련관과 육아종합지원센터 건립을 폐기하고, 대체 부지를 찾아 건립을 재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애초 건립 부지 지하에 폐기물 10여만 톤(추정)이 매립돼 있는 것을 확인하고 공사를 중단한 지 1년 만에 내린 결론이다. 그동안 이 폐기물 처리 방안에 대해 다각도로 검토했으나 뾰족한 해결 방안을 찾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폐기물이 매립된 부지는 대구미래대의 학교법인 애광학원이 2018년 경산시에 230억 원을 받고 판 대학 부지의 일부다. 이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 190억 원이 드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폐기물을 누가 처리하고 그 비용을 누가 부담할 것인지를 놓고 많은 시간을 보냈다. 경산시는 대학 부지를 판 애광학원에서 처리할 것을 주문했으나 현재의 학교법인 상황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실정이다. 애광학원은 수익용 기본재산을 팔아야 처리 비용을 부담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애광학원이 수익용 기본재산을 매도해 폐기물 처리 비용을 마련하는 것에 대해 교육지원청에서는 '불허' 의견을 밝혔다는 점이다. 사립학교법에는 '학교법인이 그 기본재산에 대한 매도·증여·교환·용도변경하거나 담보로 제공하려는 등의 경우 관할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교육지원청이 '불허' 입장을 낸 것이다.
경산시가 전액 시비를 투입해 처리한 뒤 애광학원에 구상권을 청구해 회수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기본재산 매도 시 교육지원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결국 포기했다.
시는 폐기물 매립이라는 '돌발 변수'로 인해 애초 부지 내 건립 폐기, 대체 부지 물색 후 재추진이라는 최종 결정을 내리기까지 우왕좌왕해 행정력을 낭비했다.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들도 산 넘어 산이다.
무엇보다 2024, 2025년 각각 개관하기로 했던 청소년수련관과 육아종합지원센터 건립은 최소 3년 이상 늦어지게 됐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수혜자인 경산시의 청소년과 유아들이 입게 됐다.
총사업비도 당초 225억 원(청소년수련관), 146억 원(육아종합지원센터)이던 것이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수혜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심의 대체 부지를 확보하려면 부지 매입비만 100억~200억 원 늘어나고, 건축비도 그동안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이미 확보된 국·도비 126억 원을 반납하고 다시 확보해야 하는 등 예산 확보에도 비상이 걸렸다.
애광학원도 누가 언제 어떤 경위로 폐기물을 매립했는지 확인하지 못했고 공소시효(7년)가 지나 폐기물관리법의 처벌을 받지 않는다고 해도 많은 손실을 입게 됐다. 즉 시가 이번에 폐기물이 매립된 부지에 대해 '매매계약 취소' 또는 '해제' 소송을 해 학교법인이 패소할 경우 땅값과 그 이자로 많은 돈을 반환해야 하고, 매립된 폐기물도 적법 처리를 해야 할 처지다.
폐교 대학이 매각되거나 활용되지 못한 채 방치돼 재산 가치가 하락하고 흉물로 남게 되면 결국 지역사회나 국가의 큰 짐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학교법인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 여기에 국가와 지자체에서 적극 개입해 폐교 자산의 활용 방안을 찾을 법과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번 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