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신공항 경제효과 51조원…"대구경북 경제 최대 호재"

입력 2023-04-13 17:49:00 수정 2023-04-13 21:19:54

의성 비안면 상공에서 바라본 통합신공항 부지 모습. 매일신문 DB
의성 비안면 상공에서 바라본 통합신공항 부지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경북 미래 발전을 위한 대구경북 신공항이 건설에는 7조2천465억원이 들지만, 대구경북에 미칠 경제적 파급 효과는 무려 51조원대에 달할 전망이다. 신공항 건설이라는 대역사(大役事)와 종전부지 개발을 시작으로 대구경북이 글로벌 기업 유치, 공항 기반 여객·물류 서비스 다변화, 공항 연계 지식 서비스업 동반 발전 등 미래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신공항 건설에는 보상비와 공사비 등을 포함한 이전부지사업비 5조7천744억원, 소음완충지역 토지보상비 등 지원사업비 3천억원, 환경처리비 등이 담긴 종전부지사업비 6천363억원 등 모두 7조2천465억원이 든다. 여기에 관련 사회간접자본(SOC) 조성 등을 고려하면 최대 30조원의 자금이 풀릴 전망이다. 단군 이래 대구경북 최대 역사(役事)라고 할 만한 규모다.

그런 만큼 지역 경기 반등의 대형 호재이기도 하다. 추정치이긴 하지만 대구경북연구원의 '통합신공항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보면 신공항 사업으로 인한 직접생산유발는 35조9천669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부가가치유발 15조3천171억원, 취업유발 인원도 40만5천500여 명에 이를 전망이다.

공항 건설에 따른 생산유발액과 부가가치유발액도 각각 9조7천841억원, 4조3천101억원으로 집계됐다. 취업유발 인원은 10만5천여 명으로 추정된다. 도로·철도 등 연결교통망 구축은 생산유발액 13조6천596억원, 부가가치유발액 4조8천926억원, 취업유발 인원 9만8천여 명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각종 공항 서비스에 따른 생산유발액은 9조1천341억원으로 추산된다. 부가가치유발액도 4조8천456억원, 취업유발 인원은 17만여 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배후도시 건설에 생산유발 1조4천435억원, 부가가치유발 5천170억원 ▷항공산업 분야 각 1조1천344억원, 4천627억원 ▷항공물류 분야 각 2천354억원, 567억원 ▷지역주민 이동비용 절감 각 1천480억원, 669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지역 간 연관효과를 포함해 전국에 미칠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하면 생산유발 53조3천407억원, 부가가치유발 20조5천564억원, 취업유발 인원 49만1천여 명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이뿐만이 아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공항과 인접한 의성의 약 100만㎡ 부지에 군 관계자, 가족 등 1만명이 거주하는 신도시 조성도 계획하고 있다. 공항에서 5~10㎞ 떨어진 군위 지역에는 약 330만㎡ 규모로 민항 관계자, 산업 및 연구·상업시설 종사자 등 2만명이 거주하는 배후 신도시 조성도 구상 중이다.

대구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신공항 건설은 침체한 대구경북 경기를 반등시키고 막대한 추가사업 유치 효과를 낼 초대형 호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