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가스공사 공공요금 인상 압박에 임직원 성과급 반납 검토

입력 2023-04-13 10:50:40 수정 2023-04-13 19:09:15

성과급 환수시, 한전 약 340억, 가스공사 약 9억 5천만원 비용 절감 효과
"에너지 요금 조정 필요성을 호소 앞서 뼈를 깎는 자구책 마련"

공공요금 인상을 앞두고 비용 절감을 위해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임직원 성과급 반납을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공요금 인상을 앞두고 비용 절감을 위해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임직원 성과급 반납을 검토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공요금 인상을 앞두고 비용 절감을 위해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임직원 성과급 반납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2분기 공공요금 인상을 앞두고 정부는 국민 부담을 고려해 계획을 무기한 연기한 바 있다. 지난 6일 전기·가스요금 당정에서 한전과 가스공사는 2분기 요금 인상 전에 자구책을 마련하기로 약속했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오는 2026년까지 각각 14조원, 총 28조원 규모의 자구노력을 강도 높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성과급 반납이라는 대안을 내세웠다.

가스공사는 부장급 이상 임직원에게 올해 성과급을 받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한전 역시 차장급 이상 임직원의 성과급 반납을 고려하고 있다.

한전은 지난해 역시 전기 요금 인상과 맞물려 7명의 임원이 임금 인상분과 성과급 전액을 반납했고, 1직급 이상 고위직 301명의 성과급도 50% 반납한 바 있다. 한전은 적자로 인해 경영난을 겪었던 2008년, 2009년과 2013년 2014년에도 성과급 혹은 급여인상분을 반납했었다.

올해 한전과 가스공사가 임직원의 성과급을 환수하게 되면 한전은 약 340억, 가스공사는 약 9억 5천만원가량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한전과 가스공사에서 성과금을 반납하더라도 운영비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용이 크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재무 개선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성과급 반납 시점은 올해 성과급을 결정하는 경영평가 결과가 나오는 6월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1일 박일준 산업부 제2차관과 정승일 한전 사장,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참석해 에너지공기업 경영혁신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조만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추가 자구계획 및 경영혁신 대책'을 발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전과 가스공사는 국민에게 에너지 요금 조정 필요성을 호소하기에 앞서 더 뼈를 깎는 자구 대책을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