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상공인·전통시장 총 3천700곳 설문조사 결과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 13.7p, 전통시장 체감경기지수 18.3p 각각 상승
지난달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체감경기가 동반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인들은 새학기, 날씨 등 계절적 요인에 더해 코로나19 규제 완화가 체감경기 호전에 영향을 줬다고 봤다.
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지난달 소상공인 체감 경기지수(BSI)는 69.9로 지난 2월보다 13.7포인트(p) 올랐다. 소비 감소 우려로 하락한 지 한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한 것이다. 지난달 전통시장 체감 BSI도 59.7로 전월보다 18.3p 올라 한 달 만에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공단이 지난달 18~22일 소상공인 2천400개 업체, 전통시장 1천3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수치가 100 이상이면 경기가 호전됐다고 보는 업체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악화했다고 보는 업체가 더 많다는 뜻이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체감 BSI가 반등한 건 학기와 따뜻한 날씨 등의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체감경기 호전 사유(복수 응답)로 새학기, 날씨 등 계절적 요인을 꼽은 소상공인이 71.5%로 가장 많았고, 유동 인구·고객 증가(18.5%), 실내 마스크 해제 등 코로나19 규제 완화(5.2%)가 뒤를 이었다. 전통시장 상인 가운데서도 69.5%가 학기, 날씨 등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줬다고 응답했다.
지난달 소상공인 체감 BSI를 업종별로 보면 개인서비스업(29.5p), 수리업(25.0p), 제조업(17.5p) 등은 오르고 부동산업(-6.5p)은 내렸다. 전통시장의 경우 의류·신발(28.9p), 농산물(26.1p), 가공식품(21.3p) 순으로 상승했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이번 달 경기 전망은 부정적으로 나왔다. 소상공인의 4월 전망 BSI는 91.3으로 전월 대비 2.6p 내렸고, 전통시장은 84.5로 4.7p 하락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