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22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박찬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을 향해 반말을 섞어 호통을 치는 일이 논란이 되면서 과거 장 의원의 발언들이 다시금 회자되고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장 의원은 지난 22일 국회에서 열린 행안위 전체회의에서 현안질의 도중 자리를 뜨려 하는 박 사무총장을 향해 "국회의원 12년 하면서 위원장 허락 없이 이석하는 피감 기관장은 처음 본다. 사무총장 뭐 하는 사람이냐. 위원이 질의하고 있는데 이석을 하느냐"라고 호통을 쳤다.
질의 중 이석한 박 사무총장을 발언대로 불러낸 장 의원은 "국회를 뭘로 보는 건가. 선관위는 국회를 이렇게 무시하나. 누구 허락을 맡고 이석했나"라고 다시 물었다.
박 사무총장이 이석을 지시하는 실무자의 메모(쪽지)를 받았다고 설명하자, 장 의원은 "메모를 준 사람이 누구냐"고 추궁했다.
장 의원은 메모 전달자로 지목된 선관위 기획재정과장에게 "당신이 상임위원장이야?"라고 몰아세웠다.
해당 직원이 "죄송합니다"라고 사과하자 장 의원은 또 반말로 "들어!"라고 호통치고 "어디서 배워 먹은 거야? 국회를 뭘로 보는 거야"라며 언성을 높였다.
▶지난 2019년 4월 30일 장 의원은 국회에서 비슷한 모습을 보인 일이 있다.
선거제 개혁안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당시, 패스트트랙 지정 가결이 선포되기 직전에 장 의원은 '회의 중 폐문' 표시가 붙어있는 회의장 문을 열고 나가려다가 국회 직원에게 제지당했다.
당시 회의장은 심상정 정개특위 위원장이 한국당의 무단 회의실 점거를 이유로 질서유지권을 발동해 정해진 출입구로만 오고 갈 수 있는 상황이었다.
심 위원장은 장 의원이 문을 열고 나가려는 것을 목격하고 "그렇게 하면 안 된다"며 국회 방호과 직원들을 불렀다. 이후 직원으로 추정되는 한 사람이 달려와 장 의원을 제지했다.
위원장의 요청에 국회 직원이 달려가 장 의원을 막아서자 장 의원은 "뭐야 이거"라고 소리 지르며 "어디 잡았어? 나 밀었죠. 안 밀었다고? 경호 책임자 나와"라고 반말로 소리쳤다.
그러면서 "국회의원을 밀어? 정개특위 위원이 회의장을 퇴실하는데 밀어?"라고 다그치며 "밀었잖아. 사과해"라며 계속 고함을 질렀다. 이에 국회 직원이 "의원님 죄송합니다"라고 사과하자 장 의원은 "정식으로 하세요. 당신 이름 뭐야?"라고 소리를 질렀다.
이를 본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죄 없는 국회 직원들 겁박을 합니까. 그러지 마세요"라며 "화풀이할 게 있으면 우리 당에 하세요. 장 의원님 그러는 거 아니죠"라고 장 의원을 타일렀지만 장 의원은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했다.
직원이 "아니…"라며 말끝을 흐리자 장 의원은 "아니? 아니?"라고 되물으며 "국회의원을 밀어? 정개특위 위원이 회의장을 퇴실하는 데 밀어? 난 들어올 수도 있고 나갈 수도 있는 사람이야. 왜 밀어, 왜 밀어?"라고 계속해서 반말을 쓰며 항의를 이어갔다.
결국 해당 직원은 장 의원에게 "갑자기 문이 열리길래 뛰어왔을 뿐입니다. 의원님 오해 마시죠. 잘못했습니다"라고 사과하고 나서야 소동이 마무리됐다.
▶한편, 천하람 국민의힘 전남 순천갑 당협위원장은 24일 오전 BBS 라디오에서 장제원 의원을 겨냥해 "시대에 뒤떨어져 있는 것 같다"며 "국회에서 피감기관이 상임위원장의 뜻에 안 맞는 행동을 하면 국회에 대한 모욕으로 비쳐질 수 있지만, 이게 과연 그런 식으로 호통을 치고 반말까지 해가면서 할 일인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런 모습들이 결국 국민들로 하여금 국회의원들이 군림하려고 한다고 생각한다"며, "직위가 높아질수록 겸손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손수조 전 안철수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대변인도 개인 SNS에 "장제원 의원의 행안위원장 사퇴를 촉구한다"는 글을 올리고 장 의원의 행동을 비판했다.
손수조 전 대변인은 "그 어떤 잘못과 실수가 있었을지언정, 이런 식의 반말과 공개석상에서 소리 지르며 무안주기 등의 행동은 도가 지나치다"면서 "스스로 반성하고 진심 어린 사과를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