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계 지출 27% '세금·이자비용'으로 나갔다

입력 2023-02-27 10:55:28 수정 2023-02-27 11:22:04

금리 인상, 주담대 등으로 이자 부담 증가한 탓

시중 한 은행의 대출 창구. 매일신문DB
시중 한 은행의 대출 창구. 매일신문DB

지난해 가계 지출의 약 27%는 세금이나 이자 지출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시대를 맞아 이자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빚부터 갚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월 평균 비소비지출은 95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8.0% 늘었다. 비소비지출은 가계가 지출하는 비용 중 세금이나 이자 지출 등을 포함한 경직성 비용을 이른다.

전체 가계지출(359만1천원) 대비 비소비지출 비중은 26.5%로 전년(26.1%)보다 0.4%포인트(p) 높아졌다. 1인 가구 포함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연간 기준)다.

비소비지출 비중은 증가 추세다. 2017년 22.9%에서 2018년 23.7%, 2019년 26.2%, 2020년 25.9%, 2021년 26.1%로 상승했다.

세부 항목별로 따져보면 이자 비용(9만9천원)이 1년 전보다 15.3% 늘어 최대 증가 폭을 보였다. 소득세, 재산세, 자동차세 등이 포함된 경상조세(21만2천원)가 10.6% 늘어 뒤를 이었다. 사회보험료는 8.0%, 연금기여금은 5.2% 늘었다.

특히 도시에 거주하며 가구주가 근로자인 도시 근로자 가구 경우 가계지출 대비 비소비지출 비중이 29.1%에 이르러 전체 가구보다 더 높은 수준이었다. 물가 상승세와 더불어 금리가 인상돼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대출 이자 부담이 증가한 탓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