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 1병에 6천원 시대가 예고되면서 정부가 가격 인상 억제를 위한 주류업계 실태조사에 나섰다. 가격 인상 요인과 업계 동향을 비롯해 업체 이익 규모 등까지 두루 살펴보겠다는 계획이다.
26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국세청은 주류업계의 소주가격 인상 움직임과 관련해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소주의 원재료 격인 타피오카와 주정 제조 과정에 투입되는 에너지, 병 가격 등 원재료값이 뛰면서 주류업계가 소줏값을 인상할 움직임을 보이자 정부가 행동에 나선 셈이다.
업계에서는 원료가 되는 주정 공급가가 올랐고 소주병 공급가도 180원에서 220원으로 오른 만큼 가격조정 요인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주류업계가 출고가 인상을 단행할 경우 소비자 구매가의 인상폭이 훨씬 크다는 점이다. 음식점들의 경우 그동안 주류업계가 판매가격을 통상 1천원 단위로 올린 점을 감안하면 병당 6천원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최근 고물가 상황에서 원재료나 에너지 가격 인상을 제품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판단하는 음식점들이 앞다퉈 가격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를 두고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응 방안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부총리는 앞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소주 등 국민이 정말 가까이 즐기는 그런 품목(의 가격 인상)에 대해서는 업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힌바 있다.
기재부는 현재 소줏값 인상 요인을 점검 중이다. 주류업체의 수익 상황도 모니터링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처럼 영업 상황이 어렵다면서도 사상 최고 순이익을 벌어들이고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것은 아닌지 뜯어보겠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국세청은 이미 주류업체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연 것으로 전해졌다. 국세청은 개별 주류업체들과의 만남에서 최근 가격인상 동향을 점검하고, 가격인상에 우려 등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도 올해 국민 부담으로 직결되는 민생 분야 담합 행위를 중점적으로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공정위는 주류업계 일각에서 가격을 인상하면 경쟁업체들이 뒤따라 가격을 따라올리는 추종인상이나 편승인상에 문제가 없는지 따져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출고가격이 조금만 올라도 소비자들의 부담이 큰폭으로 늘어나는 상황은 부적절하다"면서 "가격결정에 개입할 수는 없지만 이런 상황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서 (업계와)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