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교육·코딩 등 스타트업계 분야 막론한고 챗GPT 도입에 열중
SK텔레콤, 삼성 역시 챗GPT를 도입한 서비스 시행 준비 중
불확실하고 무의미한 정보 전달 우려 … "완전히 챗GPT에만 의존해서는 안 돼"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 기술을 실제로 서비스에 접목하는 정보기술(IT) 기업들이 국내에서도 눈에 띄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달 사이 국내 IT 업계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분야를 막론하고 챗GPT에 기반한 서비스를 도입한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헬스케어 플랫폼 '굿닥'은 지난 21일 챗GPT에 기반한 '건강 AI챗봇' 서비스 출시해 건강·시술과 관련된 사용자 질문에 즉시 답변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소프트웨어 교육 스타트업 '팀스파르타' 또한 온라인 코딩 강의 '스파르타코딩클럽' 즉문즉답 서비스에 챗GPT를 도입했다. 코딩을 배우는 수강생들이 오류가 난 자신의 코드를 붙여 넣으면 챗GPT가 실시간으로 이를 분석해 몇 초 만에 오류 원인을 알려주는 서비스다.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대기업들도 챗GPT를 상용화 서비스에 도입하는 등 업무적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5월 출시한 AI 챗봇 '에이닷'에 챗GPT를 접목해 올해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챗GPT 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고성능 컴퓨팅 서버를 구축했고 챗GPT를 탑재한 에이닷은 지금보다 훨씬 자연스러운 대화를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 역시 업무 자동화 솔루션(RPA)에 챗GPT 기능을 도입해 반복적인 작업의 능률을 대폭 끌어올리는 방안을 검토하는 중이다.
기업의 작업 효율화에 도움이 되겠지만 불확실하고 무의미한 정보가 전달될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승익 서울사이버대 전자과 겸임교수는 "챗GPT는 작업 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면서도 "완전히 챗GPT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이를 정보를 얻거나 업무를 처리하는 채널 가운데 하나로 보고 인간의 의견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