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0개 가운데 58개(34%) PMMA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중부내륙 성서IC 인근서 사용
지난해 12월 발생한 경기 과천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 사고와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도로 방음시설 화재안전 강화대책을 2일 발표했다.
불에 잘 타는 PMMA(폴리메타크릴산메틸) 소재의 방음터널과 방음벽을 폴리카보네이트(PC)나 강화유리로 조속히 교체하겠다는 계획이다. 방음터널 소재로 쓰이는 PMMA와 PC는 비슷한 아크릴 소재이지만 연소가 될 때는 PC 소재가 상대적으로 더 안전하다.
국토부에 따르면 전국에 설치된 방음터널은 170개로 이 가운데 58개(34%)가 PMMA 소재다. 170개 중 110개(65%)는 불이 나면 대피와 연기 배출이 어려운 '밀폐형'으로 지어졌다. 방음벽은 1만2천118개 가운데 1천704개(14%)가 PMMA소재였다.
대구에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수성IC 주변 방음터널 5곳 가운데 3곳에 PMMA 소재가 사용됐다. 특히 수성구 노변동 316m 구간은 PMMA 소재에 외부 환기가 어려운 완전 터널형이다. 불이 난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과 동일하다. 지난달 3일 중부내륙고속도로 성서IC 인근에서 발생한 화재 때도 PMMA 소재 방음벽에 불이 옮겨붙어 피해를 키웠다.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 시설팀 관계자는 "최근 국토부로부터 PMMA소재 터널을 PC형으로 교체하는 데 드는 비용을 조사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관련 내용을 제출했다"며 "향후 국토부와 정부 보조금 지원 절차 등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