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취약' 방음터널 PMMA →PC로 교체…신대구부산 "교체비용 협의 중"

입력 2023-02-02 17:25:01 수정 2023-02-02 22:04:44

전국 170개 가운데 58개(34%) PMMA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중부내륙 성서IC 인근서 사용

대구 달서구 중부내륙고속도로 성서IC 인근 방음벽 일부 구간이 차량 화재로 뼈대만 남아 있다. 불에 탄 방음벽의 소재는 지제2경인고속도로 북의왕IC 인근 방음터널 화재 당시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PMMA 소재와 같다. 매일신문DB
대구 달서구 중부내륙고속도로 성서IC 인근 방음벽 일부 구간이 차량 화재로 뼈대만 남아 있다. 불에 탄 방음벽의 소재는 지제2경인고속도로 북의왕IC 인근 방음터널 화재 당시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PMMA 소재와 같다. 매일신문DB

지난해 12월 발생한 경기 과천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 사고와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도로 방음시설 화재안전 강화대책을 2일 발표했다.

불에 잘 타는 PMMA(폴리메타크릴산메틸) 소재의 방음터널과 방음벽을 폴리카보네이트(PC)나 강화유리로 조속히 교체하겠다는 계획이다. 방음터널 소재로 쓰이는 PMMA와 PC는 비슷한 아크릴 소재이지만 연소가 될 때는 PC 소재가 상대적으로 더 안전하다.

국토부에 따르면 전국에 설치된 방음터널은 170개로 이 가운데 58개(34%)가 PMMA 소재다. 170개 중 110개(65%)는 불이 나면 대피와 연기 배출이 어려운 '밀폐형'으로 지어졌다. 방음벽은 1만2천118개 가운데 1천704개(14%)가 PMMA소재였다.

대구에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수성IC 주변 방음터널 5곳 가운데 3곳에 PMMA 소재가 사용됐다. 특히 수성구 노변동 316m 구간은 PMMA 소재에 외부 환기가 어려운 완전 터널형이다. 불이 난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과 동일하다. 지난달 3일 중부내륙고속도로 성서IC 인근에서 발생한 화재 때도 PMMA 소재 방음벽에 불이 옮겨붙어 피해를 키웠다.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 시설팀 관계자는 "최근 국토부로부터 PMMA소재 터널을 PC형으로 교체하는 데 드는 비용을 조사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관련 내용을 제출했다"며 "향후 국토부와 정부 보조금 지원 절차 등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